(국정자원 화재 대란)한국 '1곳 의존', 미국·유럽·일본 '분산·복구 체계'
'단일 거점 의존' 정부 전산망, 화재에 전면 마비
미국·유럽, 다중 리전 기반 ‘분산·복구’ 체계 표준화
일본, 지진·태풍 대비 전국 데이터센터 분산 운영
정부 "복구 TF 24시간 가동 중"…완료 시점은 불투명
2025-09-29 16:09:59 2025-09-29 17:00:41
[뉴스토마토 박재연 기자] 지난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사실상 마비되면서, 중앙 집중형 구조에 의존해온 국내 전산 관리 체계의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미국·유럽 등 주요국이 다중 분산·복구 시스템을 표준으로 삼아 위기 상황에도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단일 거점에 의존해 한 번의 사고가 곧 국가 기능 전체 마비로 직결되는 구조적 취약성을 노출한 셈입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온라인 복지 서비스, 정부24 등 주요 업무 시스템이 중단된 29일 경기 수원시 승화원에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정부 전산망은 핵심 데이터와 서비스가 한 곳에 집중돼 있어 화재나 정전 같은 물리적 사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동시에 멈출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이번 사태에서도 전산망을 다른 지역으로 즉시 전환할 수 있는 분산 저장·복구 체계가 미흡해 피해가 확대됐는데요. 실제로 대전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IT 시스템 647개가 중단되면서 국민 생활 전반에 큰 혼란이 빚어졌습니다. 
 
반면 해외 주요국은 ‘분산·복구’를 전제로 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클라우드 스마트(Cloud Smart)’ 전략을 통해 연방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때 재해 복구와 서비스 연속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등 주요 클라우드 민간기업은 다중 리전 기반 전환을 지원해 특정 센터가 마비되더라도 다른 지역에서 서비스가 이어지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유럽 역시 독일을 중심으로 '분데스클라우드(Bundescloud)' 프로젝트를 추진, 연방·주·지자체 수준에서 클라우드 인프라를 분산 운영하도록 설계하고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 문제가 생겨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요.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가 빈번한 일본도 주요 데이터센터를 전국에 분산 배치하고, 각종 공공 서비스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다져왔습니다. 일본 총무성이 발간한 '데이터센터 등 디지털 인프라 정비 현황과 과제' 자료에 따르면 대규모 지진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디지털 인프라의 지역 분산, 다중 경로화를 위한 배치가 불가결하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미국, 유럽, 일본의 전략은 각국 정부가 디지털 인프라 정책 차원에서 재난 대응과 서비스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산·복구 구조를 핵심 원칙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전산망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현재 장애 복구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 테스크포크(TF)가 24시간 가동 중"이라며 "우체국 금융·우편 등 정부 서비스 재개를 위해 전 직원이 밤을 새워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복구 완료 시점은 아직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박재연 기자 damgomi@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