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바뀌어도 증시 밸류업 이어간다
정권 교체 이후에도 밸류업 정책 기조 유지
기업가치 제고·주주환원 확대 중심 제도 강화
오기형 의원 "누가 시작했느냐 중요치 않아…좋은 정책은 지속"
2025-09-01 14:26:26 2025-09-01 14:42:32
[뉴스토마토 신유미 기자] 코스피 '5000달성'을 목표로 내건 이재명정부에서도 '밸류업(Value-Up)' 정책이 계속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전 정부의 증시 부양 간판 정책이었던 밸류업의 명칭 변경 가능성을 두고 여러 추측이 나왔으나 정부와 여당은 명칭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정책 방향 자체를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1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와 여당은 밸류업 정책 기조를 지속 추진할 방침입니다. 밸류업 정책은 윤석열정부가 지난해 국내 증시 부양책으로 내놓은 핵심 과제로, 만성적인 저평가 문제인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윤석열씨가 탄핵되고 당시 야당이었던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밸류업 프로그램 지속 여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금융투자업계 고위 관계자는 "이번 정부에 들어서 밸류업 정책을 이어간다, 아니다를 명확하게 밝힌 적은 없지만, 기본적으로 증시 부양 정책이라는 방향성이 같아 지속 추진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 같다"면서 "내부적으로나 외부적으로 네이밍 변경은 생각해본 적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미국 경제 전문 방송에도 보도됐을 정도로 글로벌 기관들에게 밸류업이라는 이름은 매우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을 쓰지 않는 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혼란에 대한 우려도 감안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업계는 정부의 눈치를 살피는 분위기입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 정부도 자본시장 친화적인 정책을 하고 있어 명칭에 구애받는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여당이나 정부 관계자와 컨택할 때에는 밸류업이라는 표현은 지양하고, 기업가치 제고 등과 같은 단어를 쓰고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취임 직후 '코스피5000 시대'를 공언하며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을 추진 중입으로, 정부와 여당에서는 그 명칭에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 입니다. 민주당 코스피5000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오기형 의원은 "초안을 누가 만들었느냐도 중요하지 않다"며 "일부 동의하지 않는 내용이 있더라도 자본시장 선진화, 신뢰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적절한 내용을 취사선택하고 설득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밸류업 프로그램은 기업 스스로 중장기 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공시하도록 유도하고, 이에 따른 세제 인센티브와 제도적 지원을 병행하는 것이 그 골자입니다. 특히 자본 효율성과 주주환원, 지배구조 투명성 개선을 주요 축으로 삼아 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소각, 투자자 소통 강화 등을 권장하는 한편, 참여 기업에는 세액 공제와 세정 컨설팅 우대 등이 주어집니다. 한국거래소는 이러한 정책적 기반 위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구체화하면서, 지난해 9월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발표했습니다. 이어 11월에는 해당 지수를 기초로 한 ETF(상장지수펀드)도 출시됐습니다. 금융투자협회 또한 밸류업 관련 전담 부서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사진=챗GPT)
 
신유미 기자 yumix@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