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유미 기자] 한국거래소가 추진하는 거래시간 연장 방안을 두고 증권업계가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형 증권사는 조기 개장안을 선호하며 시스템 안정성과 기관 수요 유입 효과를 강조하는 반면, 중소형사는 인력·비용 부담을 이유로 반발하는 분위기입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최근 증권사에 배포한 거래시간 연장안 설문과 관련해 중소형 증권사와 대형사 간 입장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거래소가 제시한 안은 △1안-정규장 개장을 현행보다 오전 8시로 앞당기는 안(시가 단일가 조기 개장) △2안-프리·애프터 마켓 신설(호가 이전) △3안-프리·애프터 마켓 신설(호가 미이전) 등 세 가지입니다.
대형사는 1안을 선호하는 반면 중소형사는 2안을 선호하는 분위기입니다. 대형사의 경우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 도입 당시 이미 인력과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정규장을 조기 개장하는 1안에 대해 큰 비용이 들지 않고, 오히려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이유입니다. 반면 일부 중소형사는 아직까지 넥스트레이드 프리·애프터마켓에 참여하지 않은 곳이 있는 데다 대형사만큼의 인력과 인프라를 갖추기가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정규장을 조기 개장하면 영업, 업무, 고객센터 등 고객응대 전 부문에서 응대 시간 확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프리마켓을 도입하는 것보다 정규장을 열어야 기관 투자자도 들어올 수 있고, 거래가 더 활성화될 수 있어 1안이 나을 것으로 본다"며 "사실상 기존 업무에서 시간만 앞당기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업무상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대형 증권사 관계자도 "시스템 측면에서도 1안이 개발이나 전산 안정성이 더 낫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중소형사의 경우 정규장 조기 개장에 드는 비용이 큰 부담입니다. A 중소형 증권사는 "정규장 시작을 8시에 할 경우 특정 부서는 최소 7시까지 출근해야 하는데, 유연근무제 운영에도 불구하고, 업무 부담 추가 가중될 수밖에 없으며 야간 운영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며 "연장근무, 인력 충원, 시스템 개발 등 비용이 부담된다"는 이유로 1안을 비선호 응답했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이유로 B 중소형 증권사 역시 2안을 가장 선호했고, 1안을 비선호한 것으로 답했습니다. 대부분 증권사의 경우 2안과 3안 중에서는 호가가 이전되는 2안이 낫다는 입장입니다.
B 중소형 증권사 관계자는 "대형사의 경우에는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이용자도 많아 사실상 투자의 개념에 가깝지만, 중소형사 입장에서는 투자보다는 버리는 비용이 될 확률이 높다"며 "회사에 따라 수익구조도 기업금융(IB)에 집중된 곳들도 있어서 정규장을 늘리는 안은 현실적으로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같은 이유로 일부 소형사에서는 강한 반발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한국거래소의 거래시간 연장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습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증권본부는 지난 6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거래시간 연장이 무슨 관계가 있느냐"며 금융위원회에 한국거래소 거래시간 연장안을 폐기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사무금융노조 관계자는 "우선 정규 거래시간 연장(1안)은 말도 안 된다"며 "물리적으로도 주 40시간 준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증권사에서 어마어마한 비용이 발생하는 일"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한국거래소의 수익, 넥스트레이드의 점유율에 관한 문제인데 이는 한국거래소와 넥스트레이드가 수수료를 맞추거나 넥스트레이드가 점유율 제한을 지키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거래소가 1안을 폐기하고 2안과 3안 중에서 연장안을 선택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옵니다. 다만 이와 관련해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아직 내부적으로도 결정된 사안은 아니다"라며 "빠른 시일 내에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RX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사진=뉴스토마토)
신유미 기자 yumix@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