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배덕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에 동행하는 경제사절단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포함한 대미 투자 보따리에 관심이 쏠립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일 순방 경제인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2일 재계에 따르면 오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과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풍산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총출동 합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등도 사절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국내 주력 산업을 담당하는 기업인이 총집결한 것인데, 이들 기업은 모두 대미 투자를 늘려가며 현지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에 이번 관세 협상에서 키가 된 ‘마스가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한 조선업부터 반도체, 자동차, 에너지, 바이오 등 전방위적 경제 협력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특히 이들 사절단은 아직 관세 세부 협상이 남아있는 만큼 추가적인 대미 투자 계획 발표 등 경제 협력을 통해 정부를 측면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재용 회장의 미국 방문 전후로 테슬라, 애플과 대규모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급 계약을 맺었는데,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의 증설 계획을 밝힐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 또한 미국 내 제3 반도체 공장 신설 계획을 밝힐 가능성도 있습니다.
SK그룹은 주력 계열사인 SK하이닉스가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을 위한 반도체 후공정 공장 건설을 준비 중입니다. SK그룹은 이번 투자로 약 1000여명의 직접 고용이 창출돼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에 총 210억달러 투자 계획을 밝힌 현대차는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 능력 확대와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일관 제철소 건설 등 세부 투자 이행 계획을 점검하고 추가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차는 최근 미국의 GM과 차량 5종을 공동 개발하는 등 전략적 동맹을 맺은 바 있습니다.
LG그룹의 LG에너지솔루션도 미국 현지 거점 투자를 통해 북미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주 랜싱과 애리조나에 단독 공장을 건설 중이며 조지아에서는 현대차와, 오하이오에서는 혼다와 합작공장을 짓고 있습니다.
마스가 프로젝트의 주인공인 조선업의 경우 한화와 HD현대를 중심으로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청사진과 함께 차질 없는 추진 의지를 밝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중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 필리조선소를 찾는 만큼, 생산 설비 현대화와 추가 투자 등 계획 발표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GS그룹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추가 구입 및 에너지 등 산업의 추가 투자 가능성이 점쳐지고, 한진은 최근 미국 보잉과 48조원 규모의 항공기·엔진 도입 계약을 맺는 등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경우 소형모듈원자로(SMR)과 관련한 협력을, 셀트리온은 현지 바이오기업 생산 공장 인수와 관련 추가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재계 관계자는 “사절단이 현지 투자나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해 어필하면서 추가적인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국내 투자도 신경 써야 하는 등 무작정 선물 보따리를 풀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성의를 보여주는 차원에서 적정선의 수준이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배덕훈 기자 paladin70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