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우 기자] 국회와 업계 관계자들이 벤처·스타트업의 자본시장 진입 장벽을 해소하고 도전·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나섰습니다.
벤처기업협회는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벤처·스타트업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가 개최됐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의원연구단체 유니콘팜이 주최하고 벤처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한국벤처캐피탈협회가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벤처·스타트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상장제도와 자본조달 구조의 한계를 짚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습니다.
유니콘팜 대표의원인 김한규 민주당 의원은 개회사에서 "회수시장 경색이 벤처 생태계 선순환의 장애가 되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와 혁신 성장의 균형을 이루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최영근 상명대 교수는 '벤처생태계의 관점에서 IPO 회수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첫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최 교수는 "정부가 민간 주도의 회수시장 기반을 간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코스닥 시장의 독립성과 상장제도 유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IPO 제도개선 : 기술특례상장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벤처·스타트업의 주요 상장 통로인 기술특례상장은 시장 신뢰 저하와 정보 비대칭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며 "기관투자자 중심의 자금 유입, 공시 강화, 폐지요건 유연화 등을 통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유관기관 및 벤처업계 관계자들이 IPO 제도 개선 방향과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를 중심으로 의견을 나눴습니다.
전화성 한국초기엑셀러레이터협회 회장은 "기술기업의 특성과 성장단계를 고려한 상장 경로 마련이 필요하다"며 "심사 기준의 명확성과 시장 신뢰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은 "기술기업 상장은 늘고 있지만 회수시장으로서의 기능은 여전히 제한적"이라며 "특례상장 제도의 유연화와 투자자 유인을 위한 세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안상준 코오롱인베스트먼트 대표는 "벤처투자 선순환의 핵심은 원활한 회수시장 확보"라며 "우선주 전환 요건 유연화와 자발적 보호예수 개선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습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 회장은 "기술 중심 벤처·스타트업을 위한 코스닥 시장이 획일적이고 경직된 제도로 인해 역동성을 잃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송 회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업→성장→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핵심 요소인 회수시장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토론회를 마무리했습니다.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벤처·스타트업 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혁신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벤처기업협회)
이지우 기자 jw@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