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승재 기자] 인공지능(AI) 산업 개화로 반도체 업계의 첨단 반도체 연구개발(R&D)도 크게 중요해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인재 확보에 총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양사는 이달부터 서울대와 카이스트 등 국내 주요 대학에서 채용 설명회를 순회하며 인재 유치에 열을 올리는 모습입니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지난해 열린 SK하이닉스 ‘테크데이’ 행사에 참여한 모습. (사진=SK하이닉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오는 7일부터 18일까지 국내 7개 대학에서 ‘테크&커리어(T&C) 포럼’을 개최합니다.
T&C 포럼은 주요 대학 석·박사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열리는 채용 설명회입니다. 7개 주요 대학과 행사 개최일은 △서울대(7일) △포스텍(9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10일) 한양대(14일) △고려대(15일) △성균관대(16일) △연세대(18일) 순입니다. 당초 삼성전자의 T&C 포럼은 매년 8월쯤 개최됐지만, 올해는 7월로 한 달 정도 빨라졌습니다. 이에 삼성전자가 우수 인재를 경쟁사보다 더 빠르게 선점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는 관측입니다.
올해 포럼은 기술(테크) 세션과 경력(커리어) 세션으로 나눠 진행합니다. 기술 세션에서는 현장에서 개발 임원들이 최신 기술과 삼성전자의 사업 현황을 알려주는 세미나가 열릴 예정입니다. DS 부문 현직자들이 직접 참여해 참석자들과 교류하는 방식입니다. 올해 상반기 신입 공채를 열지 않았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와 시스템LSI 사업부 인력도, 메모리 사업부 관계자들과 함께 투입될 방침입니다. 공정과 설계, 첨단 패키징, AI, 첨단 기술 R&D 등 전방위에 걸친 1대 1 직무 상담도 예정돼 있습니다.
SK하이닉스도 내달부터 석·박사 재학생을 위한 채용 설명회인 ‘테크데이 2025’ 행사를 열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의 테크데이도 국내 반도체 관련 분야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매년 진행된 채용 행사입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8월20일부터 9월10일까지 △서울대 △포항공대 △KAIST △연세대 △고려대 순으로 행사를 열었습니다.
현재 첨단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삼성전자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는 SK하이닉스는, 올해도 전년과 비슷한 시기와 규모로 행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급성장하는 AI 반도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캠퍼스 채용을 진행하며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반도체 산업은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르고 경쟁이 치열한 만큼, 우수 인재 확보는 곧 회사의 경쟁력”이라고 했습니다.
이승재 기자 tmdwo3285@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