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오는 11월로 예정됐던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 편입이 내년 4월로 연기됐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기대했던 선진국 자금 유입, 국채 조달 비용 경감 등 편입 효과도 내년으로 미뤄지게 됐습니다.
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글로벌 지수 제공 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의 WGBI 편입 시점을 당초 예정된 11월에서 내년 4월로 변경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원래 계획대로라면 올해 11월 WGBI에 편입을 시작해 1년간 분기별로 편입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었습니다. 다만 편입 시점은 미루졌지만 편입 완료 시기는 내년 11월로 동일합니다. 편입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빈도를 분기별이 아닌 월별로 조정해, 계획된 시점에 편입을 마칠 전망입니다.
기재부는 이번 편입 시점 변경이 채권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일본 투자자들의 투자 환경 개선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투자자들에게 관련 절차 개선을 위한 충분한 준비 시간을 주는 것이 편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제도 안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최근 한국의 대내외 불확실성이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도 나오는데, 지금까지 WGBI 편입이 결정된 뒤 편입 시점이 미뤄진 사례는 전무합니다. 다만 정부 측은 FTSE 러셀 측이 정부에 제도 개선을 추가로 요청하지 않았고 오히려 시장과의 소통, 확고한 개방 의지 등을 높이 평가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편입이 연기되면서 당초 기대했던 선진국 자금 유입, 자금 조달 비용 절감, 달러화 유입에 따른 고환율 기조 완화 등 편입 기대 효과도 미뤄지게 됐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WGBI 편입으로 최소 560억달러(약 75조원)의 자금이 우리 국채시장에 유입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김재환 기재부 국제금융국장은 "편입 개시 시점은 투자자 의견을 반영해서 결정한다"며 "일본은 국채를 주문하려면 우리와 달리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테스트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견을 일본 투자자들이 제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10월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FTSE 러셀의 한국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결정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