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관리 규제 확산…케이뱅크 상장 발목
'전산사고 최다' 케이뱅크 증권신고서 심사 관건
카카오 먹통 사태 불똥…"데이터관리' 대책 담아야
2022-10-25 08:00:00 2022-10-25 08:00:00
[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카카오 먹통' 사태를 계기로 '데이터관리 리스크'가 전면에 부각되면서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 중인 케이뱅크에 불똥이 튀고 있다.
 
모든 은행 업무가 비대면으로 처리되는 인터넷전문은행 특성상 '국가 재난 시설' 수준의 데이터 보호 체계를 갖추도록 요구받고 있는데, 추후 마련될 대책이 반영된 상장요건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상장 예비심사 승인 이후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는 데 고심 중이다. 앞서 케이뱅크는 지난달 20일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예비심사 승인 후 6개월 내 상장해야하는 조건에 따라 케이뱅크는 내년 3월까지 상장을 완료해야한다. 상장을 위해서는 증권신고서 제출, 기관투자가 수요예측, 공모 청약 등의 과정이 남아 있다.
 
당장 케이뱅크는 증권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문제는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더라도 데이터관리 리스크에 대한 대책을 제대로 담지 못하면 반려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럴 경우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해 상장 일정이 내년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금감원은 증권신고서 중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한 경우 혹은 중요사항의 기재나 표시내용이 불분명할 경우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할 수 있다.
 
올 들어 케이뱅크가 흑자 영업에 안착하는 등 외형이 성장하고 있지만 상장으로 가기 위한 관문은 녹록지 않다. 카카오 먹통 사태가 터지면서 인터넷은행들의 '데이터 관리 리스크'가 전면에 떠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발생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와 카카오의 주요 계열사의 서비스가 '먹통'이 된 바 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데이터센터를 카카오와 따로 두고 있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지만 간편이체 등 카카오와 연계된 일부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현재 정치권과 정부에서는 네이버, 카카오 같은 부가통신사업자와 더불어 전국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회사의 데이터센터를 '국가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지금 주요 지상파 방송국과 기간통신사업자 즉 통신사들이 '국가재난관리시설'에 해당하는데, 다른 사업자들까지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케이뱅크의 실질적인 대주주는 KT(030200)이기도 하다.
 
금융당국은 일단 카카오의 금융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비상 대응이 적절했는지 전방위 점검에 나서는 한편 다른 금융회사도 전산센터 화재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을 재점검하고 있다.
 
당국 관계자는 "카카오 먹통 사태에 대한 원인 규명과 피해 보상 상황 등을 살펴보고 있다"며 "당국 입장에서는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데, 케이뱅크의 경우에는 상장 요건에 관련 내용이 명시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 전산장애는 2019년 196건에서 2020년 198건, 지난해 228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4년간 발생한 전산 장애는 은행(275건)에 몰렸다. 증권사는 246건, 보험사 137건, 저축은행 66건, 카드사 57건 등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뱅크의 전산 장애가 최근 4년간 34건으로 가장 많았다.
 
케이뱅크 본사. (사진=케이뱅크)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