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용윤신 기자] 올해 3분기 지역경제가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는 등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기둔화 등의 요인에 따라 제조업 생산이 소폭 감소했고 서비스업 생산만 소폭 증가한 모습이다.
향후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은 3분기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성장흐름이 다소 약화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주택시장과 관련해서는 수도권, 세종, 대구 등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하락폭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은 28일 '지역경제보고서' 발간을 통해 "3분기 중 지역경제는 글로벌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생산이 소폭 감소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일상회복 지속에 힘입어 소폭 증가하면서 대체로 2분기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권역별 경기는 '큰 폭 악화', '악화', '소폭 악화', '보합', '소폭 개선', '개선', '큰 폭 개선'의 총 7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올해 3분기 강원권과 제주권을 제외한 지역 경기는 전분기와 동일한 '보합'을 기록했다. 강원권과 제주권은 소폭 개선됐다.
향후 지역경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모두 3분기 수준에 머물면서 성장흐름이 다소 약화될 전망이다. 특히 지정학적 불안, 주요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 등 대외여건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를 비롯한 IT제조업의 글로벌 수요 둔화 등으로 2분기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향후 제조업 생산은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모든 권역에서 3분기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서비스업 생산은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외부활동 증가 등에 힘입어 2분기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3분기 수준을 유지하면서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3분기 중 소비는 재화 소비가 내구재를 중심으로 줄었으나 서비스 소비가 일상회복 진행으로 늘어나면서 2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향후 소비는 대면서비스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겠으나 물가 및 금리 상승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체적으로 3분기 수준을 보이는 데 그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등으로 일부 업종에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신사업 관련 투자가 지속되면서 2분기 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다.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3분기 수준에 머무를 전망이다.
건설투자는 민간부문에서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공공부문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집행이 감소하면서 전분기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SOC 예산집행이 늘어나면서 3분기에 비해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다만 건설자재 가격상승, 상업용 건물 공실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수출(전년동기대비)은 석유화학·정제 등 일부 업종의 수출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IT부문의 글로벌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폭이 2분기에 비해 축소됐다.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대체로 전년동기 수준을 보이는 데 그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28일 '지역경제보고서'를 발간하고 "3분기 중 지역경제는 글로벌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생산이 소폭 감소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일상회복 지속에 힘입어 소폭 증가하면서 대체로 2분기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그래픽은 권역별 경기. (출처=한국은행)
최근 주택시장과 관련해서는 수도권·비수도권, 시·도간 주택가격 등락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등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양상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지역별로는 세종, 대구 등 일부 특·광역시의 주택가격 하락폭이 큰 편이었다. 지역별 고점 대비 가격하락폭은 세종(-7.93%), 대구(-3.37%), 대전(-1.29%) 등의 순으로 하락 전환시점이 빠를수록 월평균 하락폭도 컸다.
또 상승기(2019년 10월~2021년 12월)에 높은 오름세를 보였던 지역과 최근 거래량이 큰 폭 감소한 지역에서 조정기(2022년 1~8월) 중 가격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주택가격 고평가, 차입여건 악화 등 주택시장 하방요인이 공급부진 등 상방요인보다 우세한 가운데 수도권 및 광역시 일부 지역이 하방요인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년(4분기) 시계에서 주택가격 분포의 하위 5%에 해당하는 충격이 발생한 상황에서의 주택가격 하방리스크는 지난해 말부터 빠르게 증대되는 모습이다.
지역별로는 상승기 중 주택가격이 큰 폭 상승했던 지역에서 하방리스크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했다.
용윤신 기자 yony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