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서울시, AI로 침수 피해·싱크홀 막는다
영상 하수관로 결함 20가지 유형 자동 식별
중대재해처벌법 미적용 소규모 사업장 위험요소 감지
항공사진으로 무허가 증·개축 건물 적발 도입
2022-09-07 15:07:05 2022-09-07 19:09:07
 
[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지난 8월 150년만에 쏟아진 기록적인 폭우로 서울과 수도권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인공지능으로 이러한 재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도입한다. 하수관로 결함은 물론 건축·교량 등 건설현장의 위험요소도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디지털재단은 7일 서울스마트시티센터에서 ‘재난·안전 예방을 위한 AI 혁신 기술’을 발표했다. 이는 집중호우·태풍 등 자연 재해로부터 발생하는 싱크홀 사고, 공사현장 사고, 노후 건축물·교량 붕괴 사고 등 5가지 사고 예방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AI 기반 하수관로 결함 탐지 시스템이 하수관로 내 결함을 파손·균열 등의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사진=서울디지털재단)
 
먼저 ‘AI 기반 하수관로 결함탐지 시스템’은 도심지 지반침하(싱크홀)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서울은 하수관 보급률이 100%에 달하지만 1만km에 달하는 시설을 육안으로 검사하면서 오류 발생 확률이 높고 시간·비용이 많이 드는 상황이었다. 컴퓨터가 영상·이미지를 인식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면 하수관로 CCTV 영상 내 결함을 하수관 파손·침하·이음부 결함 등 20가지 유형으로 자동 식별할 수 있다.
 
‘AI 기반 건축공사장 위험요소 관제 시스템’은 소규모 건축 공사장 사고 예방에 활용된다. AI가 공사 현장의 CCTV 영상을 실시간 분석해 위험 상황을 감지한 후 안전관리자와 작업자에게 즉시 알려준다.
 
해당 시스템은 지난 1월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지 않는 소규모 민간 공사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고용노동부의 지난해 1~9월 통계에 따르면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재해는 전체의 76.7%에 달한다. 서울시는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소규모 공사장의 사고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AI 기반 건축공사장 위험요소 관제 시스템이 왼쪽 하단 위험 요소와 사람을 표시한 결과. (사진=서울디지털재단)
 
무허가 건물과 불법 증·개축된 건물을 적발하기 위한 ‘AI 기반 도시 변화탐지 시스템’도 도입된다. 재단과 서울시가 보유한 13만장의 항공사진을 이용해 서울시의 변화된 지역을 검출하는 시스템이다. 녹지·도로·태양광 등 변화 탐지 대상을 확대하고 지난해 판독 결과와 비교·분석한다.
 
교량 결함은 드론 영상을 활용한 ‘AI 기반 교량 결함탐지 시스템’을 적용해 발견한다. 그동안 사람이 100% 육안으로만 식별해왔던 교량 결함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근로자 재해 발생과 전문성에 한계가 있었다. 해당 시스템은 시설물 내 결함을 자동탐지하고 균열·누수·파손 등 결함 유형을 분류해 붕괴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메타버스 윤리 가이드라인’도 오는 11월까지 마련된다. 이는 공공기관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에서 발생하는 윤리 침해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개발자·운영자·이용자·창작자 등 각 주체별 행동 준수 사항이 담겨 있다.
 
이와 함께 서울디지털재단은 내년부터 고령층과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한 ‘디지털 약자와의 동행’도 확대한다.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해 55세 이상 강사가 교육에 나서는 ‘어디나지원단 플랫폼’ 운영, 키오스크·모바일앱 등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표준안 마련 등을 진행한다.
 
어르신과 장애인도 디지털과 관련한 일상 서비스는 물론 증강현실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약자를 위한 서비스 개발’도 추진한다. 아울러 ‘시민 중심의 AI 쉐어링 연구’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 디지털 기술의 혜택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개인과 소상공인을 위한 AI 서비스 활용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그동안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는 내년부터 장애인까지 확대한다. 조사 결과는 디지털 기술 이용, 디지털 정보 이해, 디지털 안전, 디지털 태도 등 4개 분야 8개 하위 항목을 기반으로 분석된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은 “정부와 함께 통합된 디지털 플랫폼 정책을 기반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혁신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 7일 재단 사옥에서 ‘재난·안전 예방을 위한 AI 혁신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서울디지털재단)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