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30일 공개한 '2022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 압력과 주요국의 통화 정책 정상화 등을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했다.
이는 한은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3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경제 관련 협회 및 연구소 직원, 대학 교수, 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등 80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데 따른 결과다. 주요 리스크는 전문가들이 꼽은 5대 위험 요인 중 응답 비중이 50%를 넘는 것이다.
단순 응답 빈도수 기준으로 가장 많이 지목된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으로 79.9%에 달했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55.4%로 두 번째로 높았다. 또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43.8%)',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41.2%)', '시장금리 급등(33.5%)',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21.9%)'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 당시 순위권에 포함됐던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빠졌다.
또 '물가 상승 압력(55.4%→79.9%)',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41.9%→55.4%)', '시장 금리 급등(24.3%→33.5%)' 응답률이 상승하면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했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52.7%→43.8%)'은 소폭 하락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신규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됐다.
전문가들이 1순위로 꼽은 리스크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으로 34.2%에 달했다. 또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15.2%)',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1.4%)', '시장 금리 급등(10.1%)'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리스크 요인 중 물가 상승 압력, 주요국의 통화 정책 정상화,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시장 금리 급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대체로 단기(1년)에,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은 중기(1~3년)에 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 시스템 리스크가 1년 내 단기에 현실화될 가능성은 지난 조사 때보다 상승한 것으로 평가했다. 단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중이 지난번 12.5%에서 26.9%로 상승한 반면,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38.8%에서 32.1%로 소폭 하락했다.
중기(1~3년)에 금융 시스템에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 비중은 32.9%로 지난 조사(36.1%) 때보다 소폭 하락했다. 낮다는 비중은 25%에서 25.3%로 지난 조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매우 높음(1.3%), 높음(51.9%), 보통(43%)으로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96.2%를 차지하는 등 지난 조사(99%)에 비해서는 소폭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긴요한 과제로 '물가 안정', '가계부채 및 부동산시장 안정화',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 관리' 등을 지목했다.
전문가들은 통화 정책 완화 수준의 축소에 대해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전달하는 등 효율적인 통화신용 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 정책 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및 실수요자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에 대응한 완화적 금융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증대될 수 있는 만큼 금융기관은 충당금 적립,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책 당국도 취약계층 중심의 선별적 지원 등 선제적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한국은행이 30일 공개한 '2022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 압력과 주요국의 통화 정책 정상화 등을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는 모습.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