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민우 기자] 국내 도입된 코로나19 먹는치료제를 처방받은 환자가 408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동네병·의원에서 진단·진료·처방이 가능한 구조가 만들어져야 먹는치료제 처방이 활성화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특히 치료제 처방 주체인 의료진을 위한 더욱 자세한 임상정보 제공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은 사람은 총 408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정부는 13일 2만1000명분의 먹는 치료제를 국내로 들여왔다. 정부가 도입한 치료제는 화이자사의 '팍스로비드'다. 치료제는 코로나19 증상 발현 후 5일을 넘기지 않은 경증~중등증(무증상자 제외) 환자를 대상으로 투약할 경우 88%의 높은 위중증 예방효과를 보이며 '게임체인저'로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처방률'이다. 정부는 팍스로비드를 도입하며 하루 1000명 이상 환자에게 처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처방 실적은 저조한 상황이다. 팍스로비드 도입 직후 일주일(14~20일)간 처방을 받은 환자는 109명에 불과했다.
치료제의 처방실적이 저조하자, 정부는 투약연령 기준을 65세에서 60세로 낮췄다. 하지만 지난 26일 오후 6시30분까지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은 국민은 고작 408명 규모로 500명을 채 넘기지 못하고 있다.
27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은 사람 총 408명이다. 사진은 화이자사의 먹는치료제인 팍스로비드 모습. 사진/뉴시스
감염병 전문가들은 먹는치료제 처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동네병·의원에서 코로나19 진료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또 질병청에서 의료진이 처방을 망설이지 않도록 더욱 명확한 투약 지침을 마련해 배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상혁 경상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은 이날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대부분의 의사들의 경우 팍스로비드에 대한 처방 경험이 없기 때문에 임상 정보 등 내용을 잘 알고 있지 않다"며 "더 명확한 투약지침을 정부가 마련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동네병·의원에서도 진단·진료·처방이 가능한 구조가 구축되야 팍스로비드 처방이 활성화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도 이날 질병청 정례브리핑에서 "(팍스로비드) 투약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보편적인 의료·진료적 관계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몇 살까지 먹어야 하는지', '어떤 사람이 대상자인지' 등을 구분할 것이 아니라, 의사가 환자를 직접 진료해 필요한 환자와 불필요환 환자를 가려낼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독감처럼 진료가 가능해지고, 팍스로비드 처방이 활성화 될 경우 독감보다 치명률이 낮아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현재 독감의 치명률은 0.1%,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은 0.16%로 조금 더 높은 수준"이라며 "치료제만 잘 쓰면 치사율이 독감보다 훨씬 낮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천은미 교수는 "신속한 진단과 검사도 처방률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예를 들어 환자가 고지혈증 약을 먹고 있다면, 하루 정도 끊은 후 처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작용을 우려해 보수적으로 처방하는 의료진들을 위한 명확한 처방지침을 만들어 배포하거나, 연령제한을 해제하는 등 처방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7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은 사람 총 408명이다. 사진은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선별진료소에 길게 줄 선 시민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이민우 기자 lmw383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