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배터리 동맹 강화 속 '사드 악몽' 재현 촉각
2016년 사드 사태 당시 배터리 생산·공급 차질
당장 보복 가능성 낮지만 경쟁 과열되면 견제 강화 관측
2021-06-01 06:06:15 2021-06-01 06:06:15
[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미국 현지 투자로 한미 경제 동맹이 부각되면서 중국의 반응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때와 같은 경제 보복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지만 전기차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중국의 견제가 강화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분사 전 LG화학(051910))과 SK이노베이션(096770) 등 국내 배터리 기업은 현지 기업과의 합작 또는 단독투자를 통해 약 140억 달러의 미국 신규 투자를 추진한다. 
 
LG와 SK 양사의 투자 결정은 3대 전기차 시장인 미국 시장을 선점 노력에 따른 것이다. 다만 한미 정상회담 전후해 나온 대규모 투자 계획이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중국이 어떤 방식으로든 국내 기업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이 중국 견제를 강화하면서 반사효과를 누린 측면도 있는 만큼 중국 정부도 마냥 손놓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드 사태 이후 중국은 한국 배터리 기업을 노골적으로 차별하며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다"면서 "당장 가시적인 피해가 없다고 해도 배터리 납품사를 언제든 바꿀 수 있는 중국 체제 특성을 고려하면 어떤 식으로든 방어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2016년 6월 전기차 배터리 공급 업체 대상 인증 제도인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준 인증’에 한국산 배터리 탑재 차량을 제외했다. 자국 배터리 업체들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한국 기업들을 배제한 조치였으나, 같은해 9월 정부가 한반도 내 사드 배치를 공식화하면서 국내 배터리 기업의 현지 배터리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빚은 바 있다. LGES은 현재 중국 신강과 빈강 지역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삼성SDI는 시안과 톈진 배터리 공장을 세웠다.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사드 사태 당시와 같은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에 대해 일축하고 있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은 지난 25일 한 라디오의 전화 인터뷰에서 "너무 앞서나간 예측"이라며 "한국은 중국과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들은 사드 사태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중국 기업과의 합작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중국과 이익을 공유하며 시장을 확대해 나가려는 전략이다. SK이노는 중국 베이징자동차와 합작해 지은 창저우 공장과 EVE에너지와 합작공장인 옌청 배터리 공장은 운영 중이다. 최근 현대자동차가 올 하반기부터 중국에서 판매하는 ‘아이오닉5’가 보조금을 받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는데 아이오닉에는 SK이노가 개발한 배터리가 탑재됐지만, 중국 기업이 합작사 지분 51%를 갖고 있어 중국산 배터리로 인정받게 됐기 때문이다.  
 
배터리 3사에 당장 피해는 없다 해도 중국 정부의 전기차 정책 및 시장 동향을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철완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이미 중국 배터리 제조사의 시장 점유율이 50%대를 기록하는 중이라 한미 동맹에 의한 추가적인 타격이 당장은 보이지 않긴 하나 하반기 부터는 동향을 좀 지켜봐야 한다"면서 "시장 점유율 뿐 아니라 전구체 등 기초 소재 수급, 기술 유출과 향후 아시아 생산기지를 한국, 중국이 아닌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분산시키는 시나리오도 고민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