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규모별, 업종별 명암이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코스피 및 코스닥 비금융 상장기업 1017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076조1000억원으로 2019년 1093조원보다 1.5% 감소했다고 5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2019년 53조9000억원보다 24.9% 증가했다. 이는 2019년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데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19 반사이익을 누렸던 반도체, 가전 등 주력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으로 풀이된다.
영업이익 증가가 코로나 수혜업종과 일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업 간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장사 매출액 5분위 배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40.9배로 확대됐다.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이익 차이도 2019년 2386억원에서 2020년 3060억원으로 28.3% 늘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기업의 수는 2019년 249개에서 2020년 255개로 증가했다. 이는 상장기업의 25.1%에 해당한다.
자료/한경연
K자형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 진단키트 등에 대한 수요증가로 지난해 의료·제약업종은 영업이익이 2019년 대비 125.7% 급증했다. 전기·전자(64.0%), 음식료(27.4%), 소프트웨어·인터넷·방송서비스(18.6%) 등 비대면화 수혜 업종의 영업이익도 전년보다 크게 증가했다.
반면 유통 및 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철강·금속(37.8%), 화학(27.1%) 등 전통 제조업은 감소세를 보였다. 업종 내에서도 기업 간 쏠림현상이 뚜렷했다. 전기·전자 업종에서는 기업 수 기준 1.9%에 불과한 상위 3개사의 영업이익 증가분이 업종 전체 증가분의 91.0%를 차지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상장사 실적이 양호해 보이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들은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라면서,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규제개혁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