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동현 기자] 가상이동통신망(MVNO·알뜰폰)이 '1000만 시대'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 '자급제+알뜰폰' 조합이 주목을 받는 등 알뜰폰 사업자의 마케팅 전략이 주효한 결과다. 그러나 기업 규모에 따라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자금 경쟁력이 있는 대형 이동통신사업자의 알뜰폰 자회사가 시장의 중심을 이루게 되면서 중소사 경쟁력 확보가 과제로 떠올랐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년 12월 말 기준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회선 수는 911만1285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7월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던 알뜰폰 가입자 수는 8월 735만건으로 반전에 성공했고, 이후 10·11월 각각 898만·899만건을 기록하며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발표한 지난 1월 알뜰폰 번호이동 건수도 14만7600여건으로, 전월 대비 13.4% 증가했다.
알뜰폰의 선전은 단말 자급제로 구매 흐름과 함께 나타났다. 이른바 MZ세대(밀레니얼세대와 Z세대의 합성어)로 불리는 20·30대를 중심으로 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해 자급제+알뜰폰 조합을 찾기 시작했다. 알뜰폰 사업자들도 이에 맞춰 MZ세대를 겨냥한 마케팅을 강화하며 가입자를 모으고 있다. 20·30대가 선호하는 콘텐츠 중심 프로모션이나 간편한 비대면 개통을 지원하는 등 '저렴하기만 하다'는 기존 인식을 지우는 데 힘쓰는 분위기다. 실제 최대 월 100GB의 데이터를 지원하는 KT엠모바일 '데이득 프로모션'의 경우 전체 소비자 중 68.8%가 20·30세대였다.
지난해 10월 서울 서대문역 인근에서 열린 '알뜰폰 스퀘어 개소식'. 사진 왼쪽부터 양원용 KB국민은행 알뜰폰사업단장, 장석영 과기정통부 2차관, 김형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 사진/과기정통부
그러나 이러한 흥행 속에서도 중소 알뜰폰 사업자의 경쟁력 확보는 과제로 남았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 자회사가 자금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는 가운데 중소 사업자 간 가입자 유지·유치전도 치열한 상황이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올해 사업계획에 '알뜰폰 관련 법제도 개선활동'을 포함했다.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이 발의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의 경우 기간통신사업자의 도매제공 의무 조항과 알뜰폰 자회사 수 제한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회장으로 재선출된 김형진 회장은 지난 18일 정기총회에서 "현재 알뜰폰 업계는 어려운 시장환경을 돌파하기 위해 본연의 경쟁력 강화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며 "곧 도래할 알뜰폰 1000만 시대를 맞이해 알뜰폰이 합리적 통신서비스의 대안으로 확고히 자리 잡고자 근본적인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esc@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