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도 은행 대출 문턱 높다…"중기·가계 대출 강화 기조 여전"
국내 은행, 종합 대출태도지수 -8…여전히 마이너스대
대출태도, 가계주택 -6·가계일반 -12·대기업 -3·중기-6
"1분기 신용위험·대출수요도 높아"
2021-01-13 12:00:00 2021-01-13 12:00:00
[뉴스토마토 이정윤 기자] 이른바 ‘빚투(대출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 은행 대출의 억제 기조가 여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발 충격파에 대출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시중 은행들이 대출 빗장을 걸어 잠글 수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은행의 종합 대출태도지수는 -8로 전분기(-19)보다 줄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마이너스에 머무르는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출태도지수(-100~100)가 플러스(+)면 완화, 마이너스(-)면 강화하겠다고 답한 금융기관이 더 많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달 7일부터 18일까지 한은이 201개 금융기관 여신총괄 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지수화한 지표다.
 
가계주택에 대한 대출태도는 -6으로 4분기(-24)보다 상승했으나 마이너스대를 유지했다. 여전히 주택대출이 까다로울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가계일반에 대한 대출태도는 -12로 전분기(-44)보다 다소 완화됐으나 대출 문턱은 여전히 높다. 
 
한은은 “정부의 신용대출 관련 규제 등이 지속되면서 가계 일반대출이 다소 강화될 것”이라며 “가계 주택대출도 일반대출보다는 덜하겠으나 강화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2일 금융위원회는 금융당국이 최근 과도한 레버리지(부채를 끌어다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를 활용한 부동산 등 자산투자를 우려한 바 있다. 고액 신용대출에 대한 은행권의 특별 관리강화가 당부된 시점이다.
 
뿐만 아니다. 기업에 대한 대출도 대기업(-3)과 중소기업(-6) 모두 소폭 강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태도가 4분기 3에서 1분기 -6으로 마이너스 전환하면서 대출이 강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코로나19 재확산,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지속 등에 따른 여신건전성 관리 강화 요인이 크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은행의 종합 대출태도지수는 -8로 전분기(-19)보다는 줄었으나, 여전히 마이너스에 머무르면서 강화 기조를 나타냈다. 사진/한국은행
 
가계·기업 할 것 없이 전반적으로 신용위험이 높게 유지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은행의 종합 신용위험지수는 25로 지난 4분기(22)보다 높다. 대기업(12)과 중소기업(29)은 전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가계는(21) 4분기(15)보다 신용위험이 커졌다. 가계소득 감소 등에 따른 채무상환능력 악화 가능성으로 저신용·저소득층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은행 대출은 깐깐해지는 데 반해 대출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1분기 종합 대출수요지수는 19로, 전분기(25)보다 소폭 줄긴 했으나 강화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각각 9와 26으로, 4분기 -3, 18보다 늘었다. 경기부진과 거리두기 강화로 인해 기업들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운전자금 조달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은은 “가계의 경우 주택관련 대출수요지수가 3인 반면 일반 대출수요지수가 18로 집계됐다. 주택구입, 전세자금 및 금융투자 수요 등으로 일반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출 고삐를 조이려는 것은 비은행 금융기관들도 마찬가지다. 이들의 대출태도 지수는 상호금융조합(-24), 생명보험회사(-6), 상호저축은행(-4) 모두 ‘대출태도 강화’ 응답이 ‘완화’보다 많았다. 신용카드회사만이 지난 분기와 같은 수준인 '대출태도지수 0'을 유지할 전망이다.  
 
한은 관계자는 “비은행금융기관도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지속,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악화 우려 등으로 모든 업권에서 신용위험이 증가하고 대출수요도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정윤 기자 jyo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