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 추세를 기록 중인 반면, 증여 건수는 작년(1~5월)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부동산 시장 추가 규제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정책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고가 아파트를 '안전자산'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29일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가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올해 1∼6월 서울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 등) 소유권 이전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소유권 이전 등기 목적 중 증여 건수가 가장 많았던 자치구는 강남구(336건)였습니다.
서울 강남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토마토)
강남구에 이어 △송파구(253건) △서초구(235건)을 기록하는 등 강남 3구 아파트 증여 건수가 상위권을 독식했습니다. 해당 기간 강남 3구 아파트의 증여 건수는 총 82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늘었습니다. 최근 3년 상반기 기준으로도 2023년에는 520건, 2024년에는 675건을 기록하는 등 강남 3구 아파트 증여 건수는 증가 추세입니다.
강남 3구 아파트 증여 건수 증가는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7월(25일 기준) 강남 3구 증여 건수를 모두 합치면 119건입니다. 올해 상반기 동기(매월 1~25일) 평균인 111.7건보다 높고, 지난해 같은 기간 (7월 1~25일)보다도 36.8% 증가했습니다.
반면 강남 3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대출 규제 시행 이후 크게 줄어드는 모양새입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545건을 기록했는데,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7월에는 165건에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송파구(620건→218건) △서초구(323건→66건) 모두 매매 거래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이처럼 강남 3구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증여 건수가 증가하는 것은 자산가들 사이에서 부동산을 안전자산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졌고, 현시점이 부동산을 가족에게 물려주는 데 가장 큰 변수인 세금을 절감하기 좋은 적기라는 판단이 크기 때문입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새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율과 공정시장가액비율 상향 조정 등 사실상 부동산 세금을 늘릴 공산이 크다 보니, 세금 중과를 피해 미리 증여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진 것"이라며 "또 강남 3구 고가 아파트는 향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데, 최근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잠시 상승세가 주춤한 시점이 절세 효과를 누리는 등 증여하기 적절하다는 판단도 한몫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 한강변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토마토)
향후에도 고가 아파트를 보유한 자산가를 중심으로 증여 건수 증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종완 원장은 "새 정부가 각종 부동산 수요 억제책을 통해 부동산으로부터 세수를 늘리고 규제를 강화할 것이 유력한 만큼, 불안정한 매매 시장보다는 '계속 갖고 있다 물려주자'는 인식이 강할 수밖에 없다"며 "강남 3구뿐 아니라 고가 아파트 비중이 높은 마용성 지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