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비대면 서비스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모델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제도 정비와 규제개혁도 필수적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17일 산업연구원이 공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서비스 모델과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시작한 2월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2월 106.4에서 3월 101.7로 전월과 비교해 4.4% 감소했다.
보고서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우리 경제가 회복되면서 소비행태의 변화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로서는 비대면 서비스 전체 규모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단계는 아니다. 하지만 전체 서비스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비대면 비즈니스모델에는 무인점포, 무인텔, 무인 주차장 등과 같이 로봇이나 시스템을 적용하는 사례보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활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봤다.
예컨대 쿠팡, 마켓컬리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과 요기요, 배달의민족 등 음식배달앱, 인터넷전문은행 등이 대표적이다.
통계청의 온라인쇼핑 동향 조사를 보면,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 규모는 지난해 135조원으로 전년대비 19.4% 늘었다.
택배업에서는 드론 배송, 모바일 세탁서비스에서는 플랫폼 기반 런드리고 등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했다.
박정수 산업연 선임연구위원은 "비대면 비즈니스 모델에 가능한 기술개발과 이를 활용한 서비스 R&D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단 기존 진입자와의 갈등 해소 등은 풀어야할 과제다. 타다 등 공유 승차와 기존 택시업자 간 갈등처럼 이해 상충 문제가 신산업 도입에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회경제위기 대응 시민사회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 위기 정부의 원격 의료 추진 중단 및 공공의료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세종=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