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우리나라 국민 93.9%가 공공하수도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국에 운영 중인 하수관로의 40% 이상이 20년 이상된 노후 시설이라 체계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환경부
30일 환경부가 공개한 ‘2018년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인구는 전 국민의 93.9%인 4983만 명으로 전년 대비 0.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도시지역은 95.9%, 농어촌(군지역)은 72.6%로 나타났다. 도시와 농어촌 간 보급률 격차는 지난 2008년 44.5%p에서 2012년 32.5%p, 지난해 23.3%p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특히 취약지역인 농어촌 마을에 소규모하수처리시설이 2008년 1991개에서 2018년 3442개로 늘어난 영향이 컸다.
지난해 전국에 새로 설치된 하수관로는 6754km로 전년대비 4.1% 증가했다. 이에 전국 하수관로 길이는 15만6257km로 약 지구 4바퀴 반 길이로 늘었다.
자료/환경부
다만 현재 운영 중인 하수관로 중 설치된 지 20년 이상 경과된 하수관로는 6만6334km로 전체 42.5%를 차지한다. 25년 이상 경과된 하수처리시설은 54개(8%), 30년 이상 경과된 시설은 13개로 2030년까지 급격하게 증가 추세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에 환경부는 관계자는 "국민의 안전을 위하여 파손된 하수관로에 정밀조사* 및 개·보수를 추진하고 있으며, 노후도 평가 기준 마련 등 노후 공공하수도의 관리 체계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하수를 처리하는 데 드는 평균 처리 비용은 1t당 1228.3원으로 2008년보다 84.2% 증가했다. 하수도 요금은 1t당 전국 평균 559.2원으로 실제 처리 비용에 훨씬 못 미쳤다. 요금 현실화율은 45.5%에 그쳤다.
지자체별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대전이 98.9%로 가장 높았고 대구(90.7%), 인천(86.2%) 등이 뒤를 이었다. 제주(19.6%), 강원(21.7%) 등은 전국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하수처리수 재이용량은 11억1300만t으로 7억1200만t에 그쳤던 2008년과 비교하면 많이 증가했다.
하수처리수 재이용은 하수처리장 내 이용이 46.8%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공업용수(6.8%), 농업용수(1.1%) 등 대체 수자원으로 재이용하는 비율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미자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노후 하수도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체계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며 "공공하수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노후도 평가 기준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