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5세대(5G) 무선 이동통신 기술이 확대되면서 농촌분야에서도 관련 기술 적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G 기술을 통한 실시간 통신으로 작물 모니터링 정확도가 개선되고, 축산품질 향상·가축전염병 방지 플랫폼 구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부산 강서구 죽동동의 한 논에서 드론을 활용한 벼 병해충 방제를 시연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5G 기술의 농촌응용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5G에 기반한 첨단 기술 중 '농업용 드론'에 응답자 65.2%가 관심을 보였다. '병해충 및 잡초 예찰 관리 시스템'도 63.2%로 높게 나타났다.
5G 기술 도입은 농업 생산성과 농촌의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통신업계에 따르면 농업 분야 관련 기술은 무인트랙터, 드론이 선두에 있는데 이미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트랙터를 시험해 2022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서툰 초보자도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연료비와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최근 여성 농업인과 청년 농업인이 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확대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농업용 드론도 확대 추세다. 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세계 드론 시장규모가 약 151조원으로 추정되는데 이 중 25%인 약 38조 원을 농업용 드론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업용 드론의 주요 용도는 토양상태 측정, 종자 파종, 비료 및 농약 살포, 작물 모니터링, 생육상태 측정 병충해 진단 등이 있다.
이는 일자리와도 직결된다. 정부는 이달 말 열리는 농림축산식품 일자리 박람회에서도 유망일자리로 농업드론을 꼽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자리 박람회에서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른 외식업의 변화와 새로운 가치 창출, 로봇, 블록체인, 인공지능(AI)이 적용된 외식 서비스 창출 사례 등이 소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농촌 지역에 5G 기술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상당한 수준의 투자가 선행돼야 한며 규제완화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용렬 농촌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요국들은 5G 기술이 적용된 기술로 농촌의 노동 생산성을 보존하고자 노력하고 있어 향후 5G 관련 기술의 파급 범위는 점차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우리나라 농촌 지역에 5G 기술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상당한 수준의 투자가 선행돼야 할 뿐 아니라 분야 규범·정책·법률 등 제도적 측면에서도 적절한 준비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