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한국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국가산업단지가 활력을 잃었다. 생산, 수출, 가동률이 동반 하락하며 산업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가산업단지의 영세화도 함께 진행돼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한국경제연구원이 8일 한국산업단지공단 관할 32개 국가산업단지의 최근 5년간 '주요 국가산업단지 산업 동향' 실적 지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생산은 539조원으로 집계됐다. 2012년 616조원에서 연평균 2.6% 감소했다. 전체 생산액을 업체 수로 나눈 업체당 생산액도 2012년 129억5000만원에서 2017년 108억5000만원으로 연평균 3.5% 줄었다. 반면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업체 수는 2012년 4만7553개에서 지난해 4만9633개로 2080개 증가했다. 업체가 늘었어도 총생산은 줄어드는 전형적인 비효율 구조다.
수출 기여도 역시 감소했다. 국가산업단지 수출액은 2012년 2294억달러에서 2017년 1910억달러로 연평균 3.6% 감소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전체 수출액이 5479억달러에서 5737억달러로 연평균 0.9%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에 따라 국가산업단지의 수출액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42%에서 지난해 33%로 9%포인트 축소됐다. 업체당 수출액도 2012년 482만달러에서 2017년 385만달러로 연평균 4.4% 줄었다.
가동률도 하락세다. 올 상반기 국가산업단지의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9.3%를 기록했다. 2012년 84.7%에서 5.4%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가동률은 2015년 80.9%에서 2016년 82.5%로 잠시 반등했지만 2017년부터 다시 하락 전환했다.
국가산업단지는 활력이 저하된 만큼 고용창출 능력도 떨어졌다. 올 상반기 말 기준 국가산업단지 고용인원은 102만3000명으로 2012년 99만8000명 대비 2만5000명 증가에 그쳤다. 지난 2015년 111만9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6월 기준 업체당 고용 인원은 20.4명으로, 2012년 21.0명 대비 0.6명 감소했다.
국가산업단지의 활력 저하는 글로벌 공급과잉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생산 위축과 해외 생산기지 확대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상호 한경연 산업혁신팀장은 "원인을 특정할 수는 없지만 제조업 기반이 위축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협력사들의 어려움도 최근 들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산단 입주 기업에는 세제 혜택 등이 있어 중소기업들의 수요는 있다"면서도 "대기업들의 해외 생산 비중 확대 흐름에 맞춰 협력사들도 현지로 이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