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팜 연관 산업의 일자리를 4300여개 만들고, 청년인력을 유입해 청년 스마트팜 전문가 600명을 양성한다. 특히 첨단농업의 거점이 될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전국에 4곳 조성하고, 혁신밸리와 연계한 스마트팜 실증단지를 열어 2022년에는 온실의 70%, 축사의 25%를 스마트팜으로 만든다는 방침이다.
16일 정부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스마트팜은 작물의 생육정보와 환경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노동력·에너지는 기존보다 덜 쓰면서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은 높이는 것을 말한다. 즉 정보통신기술(ICT)를 온실·축사에 접목해 스마트폰, PC를 통해 원격·자동으로 관리하는 농장이다.
2017년 현재 스마트팜을 이용한 시설원예는 4010ha(헥타르·1㏊=1만㎡), 축사는 790호 정도다. 정부는 이번 스마트팜 확산 정책을 통해 2022년 시설원예 7000ha, 축사 5750호까지 높인다는 전략이다. 무엇보다 스마트팜을 청년 농업인력 양성뿐 아니라 전후방 산업으로 확대해 2022년에 연관 일자리 43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기존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에만 주력한 탓에 보급 면적이 10배 가량 확대됐음에도 청년 유입과 전후방 산업으로의 시너지 확대는 매우 미흡했다. 이에 정부는 청년 창업생태계 조성, 산업 인프라 구축,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등 3가지 정책 과제를 이행해 스마트팜 확산·고도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먼저 정부는 스마트팜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청년들이 도전하고 성장하며,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도록 청년 스마트팜 창업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를 전북, 전남, 경남 등 전국 4곳에 설치하고 장기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그간 교육과정은 농가 중심의 단발성 교육으로 신규 농업인은 선도 농가를 방문해 스마트팜 관련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번에 신설되는 교육과정은 최대 1년8개월의 장기 교육과정이 이뤄진다. 스마트팜 취·창업을 원하는 만 18세 이상부터 40세 미만의 청년은 이 기간 동안 작물 재배 기초이론부터 경영실습에 이르는 전 과정을 교육하게 된다. 교육 기간 직접 영농을 해볼 수 있는 임대농장도 제공된다.
센터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하면 최대 5년간 임대농장과 함께 창업자금까지 우대해 준다. 내년부터 3년간 혁신밸리를 중심으로 조성하게 될 30ha의 임대형 스마트팜이 이들에게 우선 제공된다.
창업 초기 비용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책자금, 농지임대, 투자유치 관련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청년농 1인당 연 1%의 저리로 최대 30억원까지 대출해주는 식이다. 실제 올 4월 딸기 스마트팜 청년 농업인에 자금 30억원 대출을 시행한 바 있다. 정부는 또 창업 5년 이내 경영체에 투자하는 농식품 벤처펀드(125억원)를 올해 7월에 결성하고, 보육센터 수료생이 창업한 스마트팜에 투자하는 경우 추가 인센티브(투자금액의 5%)를 제공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도 본격 추진한다.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R&D)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의 개념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4곳을 조성하는데 오는 7월 말까지 시·도 2곳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김종훈 농식품부 차관보는 "스마트팜 확산방안이 마련되면 2022년에는 현대화된 온실의 70%, 축산 전업농의 약 25%가 차지하게 된다"며 "농업인, 기업, 연구기관은 협력을 통해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농업과 연관 산업에 재투자가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 자료/농림축산식품부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