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공기청정기 구매냐? 렌탈이냐?
2017-03-27 08:00:00 2017-03-27 08:00:00
[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 50대 주부 강모씨는 최근 미세먼지로 인해 집안 공기 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집안의 공기가 답답하고 탁한 것 같지만 미세먼지 농도가 짙어 섣불리 창문을 열기 두렵다. 실내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청정기 구입을 고민하고 있지만 렌탈과 판매 제품 등 수십 종류의 공기청정기에 무엇을 선택할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세먼지가 연일 기승을 부리며 공기청정기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50%나 늘어난 1조5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전자(005930)LG전자(066570), 위닉스(044340), 코웨이(021240) 등이 수십종류의 공기청정기를 쏟아내고 있다.
 
과거에는 코웨이, 청호나이스 위주의 렌탈 제품이 많았지만 최근들어 관련 시장이 커지면서 후발업체들은 일시불 판매제품을 내놓고 있다. 가격대는 대략 50~100만원대에 이르는 고가 제품과 20~30만원대의 보급형 제품으로 나뉜다. 렌탈 제품의 경우 월 2만원 후반대부터 5만원대까지 요금으로 3년 약정 제품이 주를 이룬다. 3년 요금을 계산해보면 100만원대 초반부터 170~180만원대까지 이르기도 한다.
 
판매제품과 렌탈 제품의 차이는 관리 서비스 유무다. 공기청정기는 기능에 따라 3~4개 정도의 필터가 장착돼 공기를 정화한다. 렌탈할 경우 렌탈사가 관리를 대신해 주지만, 판매제품을 구입하게 되면 관리는 소비자의 몫이 된다. 렌탈요금에는 제품 가격 뿐 아니라 렌탈서비스, 필터 및 부자재 비용 등이 포함됐다.
 
렌탈사들은 공기청정기 필터교체 및 청소의 번거러움을 렌탈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 판매사들은 소비자 스스로 충분히 필터 교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비싼 요금을 내면서까지 렌탈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판매사 관계자는 "교체 시기가 남았는데도 일부러 필터를 교체하는 렌탈업체도 있다"면서 굳이 (렌탈로) 더 많은 요금을 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공기청정기의 필터 교체 및 청소 필요성에 대해서는 양측의 이견은 없다. 필터의 성능은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에 필터 관리는 필수적이다.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환하지 않으면 필터의 모공이 막혀 청정능력이 떨어지고 내부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렌탈제품의 경우 서비스 업체에서 2~3개월에 한번씩 방문해 프리필터 청소를 비롯해 헤파필터와 탈취 필터 등을 교환시기에 맞춰 교체해준다. 먼지 감지 센서와 내·외부 청소까지 해준다. IoT 기능이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경우 실내 공기질에 맞는 필터를 맞춤 제공하고, 약정기간 동안 제품에 하자가 생기면 무상 A/S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일시불 제품의 경우 필터를 스스로 교체해야 한다. 필터 같은 소모품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필터의 용량에 따라 가격은 차이가 있지만 대개 4~5만원대다. 위닉스 관계자는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헤파필터와 탈취필터 교체를 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1년에 필터 2개를 한번씩 교체한다고 가정할 경우 3년간 필터 교체금액은 30만원 가량이 된다. 업체에 따라 필터 무상 교환 이벤트를 벌이거나 필터 교체 시기를 제품 등록자에 한해 고지하는 경우도 있다.
 
헤파필터와 탈취필터의 경우 렌탈 서비스를 받거나, 1년에 한두번 교체하면 되지만 '프리필터'는 다르다. 프리필터는 공기청정기의 필터 중에서 가장 앞에 위치해, 눈에 보이는 굵은먼지와 머리카락, 이불먼지 등을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반드시 1~2주에 한번씩 물로 청소해야한다. 렌탈·판매제품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수시로 청소해야 청정기가 제대로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조언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의 사용환경과 특성에 맞게 렌탈과 판매 제품 중 선택하면 되지만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해서는 필터 교체와 청소에 대해 관심을 갖고 꾸준한 관리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