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 역군 준공업지역, 재생프로젝트 가동
서울시 준공업지역 재생·활성화 방안 발표
2015-10-13 15:41:34 2015-10-13 15:41:34
‘한강의 기적’을 이끌었던 서울 준공업지역이 낙후된 모습을 벗고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는 7개 자치구 19.98㎢에 지정된 준공업지역을 전략·산업·주거·산업단지 등 4개 유형으로 탈바꿈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13일 발표했다.
 
준공업지역은 국토계획법에 따른 용도지역 중 하나로 공업을 수용하되 주거·상업·업무 기능을 보완한다.
 
준공업지역은 1970년대까지 서울 경제 성장의 중심을 맡아 구로, 영등포, 금천, 성동, 강서, 도봉, 양천 등에 한때 총 93.7㎢에 달했으나, 이후 신규 산업단지 지정과 주거단지 확대로 대폭 축소됐다.
 
현재 서울 전체 토지의 3.3%에 불과하지만, 서울 일자리의 10.3%, 제조업 중 32.6%를 차지할 정도로 시민 일터와 삶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시는 준공업지역의 물리적, 산업적 특성을 고려해 기존 산업은 유지·강화하면서 신규산업을 유치해 제2의 도약을 이끌 방침이다.
 
앞서 시는 재생·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2만6113개 필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고 1918개 업체 관계자 방문 심층면접조사 등을 통해 준공업지역의 실태를 진단했다.
 
시는 이번 재생·활성화 효과로 4만6000개 일자리 창출, 10만㎡ 임대 산업시설 확보, 청년주택 약 2700호 공급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4대 재생유형은 ▲전략재생형(산업거점지역) ▲산업재생형(주거산업혼재지역) ▲주거재생형(주거기능밀집지역) ▲산업단지 재생형(산업단지)이다.
 
전략재생형은 지역발전을 견인할 산업거점지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문화컨텐츠·바이오의료 등 6대 전략산업 지정, 용적률 상향 등 특화된 정비기준을 적용하고 SH공사가 사업에 참여하는 등 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산업재생형은 공장 비율이 10% 이상으로 산업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이 동시에 필요한 지역이다. 정비대상을 현재 대규모 부지(1만㎡이상)에서 중소규모 부지(3000~1만㎡)까지 확대하고,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재생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주거재생형은 공장 비율이 10% 미만인 지역으로 재개발, 재건축, 주거환경관리, 가로주택정비 사업 등을 적용할 예정이다.
 
그동안 개발 과정에서 낙후된 준공업지역 내 주거지 재생방안을 포함해 일과 삶이 공생하는 재생을 추구하게 된다.
 
산업단지재생형은 준공한 지 40년 이상 지난 G밸리와 온수산업단지 등이 대상이며, 단지별 특성에 따른 재생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일자리 거점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G밸리는 기업 유출 방지, 종사자 근무환경 개선, 온수산업단지는 영세제조업 점진적 혁신과 노후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춰 재생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시민 대토론회 등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연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확정, 도시계획조례 등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내년부터 본격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류훈 시 도시계획국장은 “준공업지역은 1970년대 서울의 경제 성장을 견인했고 앞으로도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어 낼 원석 같은 존재”라고 말했다.
 
서울시 준공업지역 재생방안.사진/서울시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진규 온라인뉴스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