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함상범기자] 정부가 청년들의 '스펙쌓기'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발벗고 나서고 있지만, 실효성 있게 정착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교육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을 확산하기 위해 130개 공공기관과 MOU를 체결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공기관 직무능력중심 채용방향'을 24일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올해에만 공공기관에서 직무능력 중심으로 3000명 수준의 채용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NCS를 기반으로 한 직무능력 중심 채용이 새로운 스펙쌓기를 야기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또 민간 기업으로 확대되지 않으면 실효성 있는 정착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정부가 지난 3년간 '스펙초월'을 내세우면서 각 기업의 채용기준이 명확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취업준비생들의 '스펙쌓기' 열풍은 줄어들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정부가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자 만든 것이 NCS다.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및 직업훈련과 자격제도를 현장에 맞도록 체계적으로 개편하고, 기업이 능력중심의 인사관리를 하도록 유도하는 기준이다.
올해부터 시행되기 때문에 당장 서류전형과 면접의 형식이 바뀐다. 예를 들어 서류전형이나 면접을 볼 때 기존에는 성장과정이나 지원동기를 물어봤다면 직무중심 채용에서는 업무 이해도와 직무 관련 역량 및 위기 상황 대처법 등을 알아본다.
하지만 현재 일부 취업준비생들 중에는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 및 훈련이 준비돼있지 않기 때문에 NCS가 또 다른 스펙쌓기 부담이 될 수 있다.
김효순 고용부 직업능력평가 과장은 "새로운 스펙쌓기가 될 수도 있어 단계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며 "개혁적으로 확 바꾸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NCS를 기반으로 한 채용이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부는 130개 공공기관을 통해서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하지만 공공기관에서도 원하는 인력을 요구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킬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취업 준비생들의 뚜렷한 목표가 뒷받침 돼야만 불필요한 스펙쌓기가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박종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기준을 완전히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기관마다 원하는 인재상이 다 다를 수 있다"며 "그럼에도 큰 차이는 없을 것 같다. 특히 취업 준비생들이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을 명확히 한다면, 준비해야 하는 스펙이 그만큼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공공기관의 경우 고용부와의 협업을 통해 충분히 변화가 가능하지만 민간기업의 경우에는 정부가 원하는대로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채용규모가 큰 삼성이나 LG, SK 등 대기업의 경우에는 구체화된 채용기준을 갖고 있어 굳이 정부의 뜻을 따를 필요가 없다.
그러다보니 일부 취준생들은 한 업체에 입사하기 위해 특강을 받기도 한다. 이 역시도 또 다른 스펙쌓기가 되는 셈이다. NCS 정착이 실효성 면에서 의문이 제기되는 지점이다.
고용부 한 관계자는 "민간기업 확대는 우리도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다. 같이 하면 좋겠지만, 대기업의 채용기준을 정부가 강제할 수는 없다"며 "대기업의 경우 정부가 내세우는 채용기준보다 더 훌륭한 시스템을 갖고 있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취업준비생들이 쓸데없이 시간을 소비하지 않게 NCS를 일부 대기업의 구체화된 채용기준에 맞춰 부족한 부분을 메우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며 "최대한 70~80%의 기업이NCS 기반에 맞게 채용하도록 장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