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황민규기자] 국제적으로 보안문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중국 화웨이의 통신장비, 모바일 네트워크 장비, 단말기 등이 국내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IT 네트워크 장비와 관련한 국내 보안성 인증제도 설립이 지지부진하고 있어 화웨이의 확산은 더욱 우려를 낳고 있다.
북미, 아시아 등지에서는 보안성 문제로 화웨이 장비를 걷어내는 분위기지만 국내에서는 아무런 제재 없이 공급되고 있으며 정부가 추진 중인 재난망 사업에도 유력한 후보로 부각됐다. 국내 통신사 중 협력 관계가 높은
LG유플러스(032640)는 화웨이 통신장비뿐만 아니라 자회사인 미디어로그를 통해 화웨이 단말기도 적극 판매 중이다.
2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를 중심으로
KT(030200),
SK텔레콤(017670) 모두 화웨이 통신장비가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보안성 인증 규제는 여전히 혼선을 빚고 있다. 특히 보안적합성 인증 의무화에 대해 이미 국내 공공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시스코가 반대 의사를 내비치고 있어 도입 자체도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웨이 통신장비의 보안 논란은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지난해 7월 화웨이가 광범위한 정보를 중국 당국과 공유해 왔다고 주장하면서 표면화됐다. 앞서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도 2012년 보고서에서 화웨이가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업이라고 지칭했다. 화웨이는 이런 일련의 논란에 대해 미국 측이 증거를 내놔야 할 것이라며 반발해 왔다.
◇화웨이의 데이터센터용 스위치 장비.(사진=화웨이)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화웨이의 장비가 이렇다 할 보안성 인증도 받지 않은 채 민간 시장에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정부는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보안성 국제공통평가기준(CC)을 도입한다는 방침이지만 업계를 중심으로 2016년 도입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간극을 메우기 위해 보안적합성 검증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지만 의무화는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고, 민간 기업 참여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안성을 위해 도입된 제도지만 해외 기업들이 제품 핵심 기술인 소스코드까지 공개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며 "실무를 담당하는 기관이 계속 바뀌고 있고 일정도 계속 미뤄지고 있어서 사실상 도입 가능성이 높지 않다. 도입된다고 해도 민간 기업들에게 의무화할 가능성도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IT 인프라의 보안성이 국가적 문제로 비화되기 시작하면서 화웨이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가격이 낮고 기술력 측면에서도 시스코와 격차를 많이 줄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정보유출에 취약하다는 논란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지난달에는 아프리카 수단에서 정부 문서를 위조하고 해킹했다는 혐의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대만에서도 최대의 전자부품업체 훙하이 그룹이 네트워크 장비를 화웨이의 장비로 교체하려고 했지만 통신 당국이 보안성 문제로 적극 반대 의사를 나타내면서 무산됐다. 현지 최대의 통신업체 중 하나인 아시아퍼시픽 텔레콤 역시 화웨이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