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효정기자] 1990년대 이후 급감하고 있는 국내 가계저축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가계저축률 감소가 경제 성장률 하락과 노후생활 불확실성 증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가계저축률 급락과 파급영향' 보고서를 통해 가계저축률 하락으로 경제성장률 하락·노후 소득보장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지 않도록 경제 선순환 고리 구축·실질소득 개선 등 저축률 제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발표한 개인순저축률은 1990년까지 경제성장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로 2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1990년대 초반 이후 줄곧 하락하고 있다.
<자료 : 한국은행, 현대경제연구원>
국내 가계저축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5.3%의 절반수준(2011년 기준)에 불과해 독일 10.4%, 미국 4.2%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감소할 때 경제성장률은 0.19%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가계저축률 하락은 투자 감소로 이어져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린다"고 분석했다.
최근 근로소득 및 자산소득이 불안정한 가운데 가계의 저축 감소로 인해 개인의 노후생활을 위한 소득보장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 연구원은 "1990년 노년부양비와 노령화 지수는 각각 7.4%와 20.0%에서 2012년 16.1%, 77.9%로 증가했다"며 "노후소득의 원천인 가계저축 감소와 부동산 등 자산가격의 하락 등으로 노후생활에 대한 대비가 미흡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으로는 ▲가처분 소득 감소 ▲국민연금 등 공적저축에 대한 부담 ▲의료보험 등 비소비지출 증가 ▲장기화된 저금리 기조 및 가계부채 누증 등 가계의 저축 유인 상실 등이 꼽혔다.
김 연구원은 국내 가계저축률을 올리기 위한 방안으로 경제 선순환 고리 구축·소득기반 확충 등을 제시했다.
그는 “안정적인 저축률 유지를 위해 투자 → 경제성장 → 소득 → 저축 여력 확대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고리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일자리 창출 등 가계 소득기반 확충과 물가 안정을 통해 가계저축 증대를 위한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교역조건을 개선을 통한 개인 실질소득 증대·고수익 저축상품 개발·비소비지출부분 안정화 등의 방안을 통해 가계의 저축 유인을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