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수입차, 사후서비스 개선 시급하다
2012-11-27 11:26:18 2012-11-27 11:28:16
자동차 분야에서 올해 화두를 찾는다면 수입차의 급성장을 꼽는데 주저함이 없을 것이다.
 
수입차는 작년 연간 10만대 판매를 사상 처음으로 돌파한데 이어 올해 판매는 최대 13만대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이는 내수 승용차 기준 판매 10% 점유율을 초과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수입차는 수년 이내에 내수 점유율 15%를 넘어 20% 이상으로 갈 수 있다는 핑크빛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많은 이유가 있겟지만, 국산 완성차업체들의 소비자 배려 부족이 크게 작용했다. 또한 국내 소비자 마인드가 글로벌 마인드로 변하고 있는 점, 국산차에 식상한 일부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중저가 수입차 모델로 이동하는 점도 이 같은 현상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리고 자유무역협정(FTA) 효과로 매년 내려가는 관세로 인한 수입차 판매가격 하락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가격, 품질, 애프터서비스 등 3대 요소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수입차의 가장 큰 약점은 사후서비스(AS)가 부족하고 부품비나 공임은 국산차 대비 너무 높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국내에는 수입차를 보는 편견이 많이 남아 있는 게 사실이다. 최근 수입차의 사후서비스가 상당히 좋아졌지만, 수입차를 운영해 본 경험자는 그 해악을 기억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고급 프리미엄 수입 승용차 J모델은 최근 국내 판매가 급증한 모델이다. 이 모델의 2009년형(주행거리 2만9000여㎞) 차량을 운행하는 한 소비자는  현재까지 서너번의 사후서비스를 받았다. 겨울철 주유 뚜껑이 열리지 않아 서비스를 받기도 했으며, 수명이 아직 남아있는 배터리가 완전 방전된 경우도 있었다. 글로브 박스 등의 터치가 좋지 않는 등 잔고장도 많았다.
 
최근 이 소비자는 이 차량으로 고속국도를 100㎞의 속도로 운행하는 도중 갑자기 계기판에 기어박스가 이상이 있다는 자막과 함께 가속이 안되는 현상을 경험했다. 금요일 밤이라 도로에는 많은 차량이 시속 100㎞ 내외로 질주하고 있어 차량이 정지하기 전에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피해야 했다.
 
이 소비자는 비상등을 켜고 간신히 자신의 차량을 갓길로 옮겼으나, 당시 갓길도 시간제 가변 통로로 차량들이 달리고 있어 사고 위험이 높은 상태. 다행히 이 소비자는 비상 정차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 사고를 면했다.
 
이후 이 소비자는 견인으로 해당 브랜드의 서비스센터에 갔으나, 야간 입고가 되지 않아 다른 센터로 가야했다. 이 브랜드의 고객 센터에서는 주말이라 정비가 어렵고, 월요일이나 돼야 고장 원인과 함께 다른 대체 수단을 이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여기서 수입차 사후서비스의 맹점이 드러난다.
 
우선 세계에서 대표적인 고가의 프리미엄 승용차가 3만㎞미만의 주행거리 임에도 자주 발생하는 고장과 함께 생명이 위협받는 고장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는 사실, 남다르게 사과나 조치가 미흡했다는 사실, 주말에는 방법이 아예 없다는 사실, 잦은 고장에도 빠르게 대차(代車) 등이 전혀 없다는 사실, 이로 인한 시간낭비와 비용낭비는 물론 어쩌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 등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사고라도 발생했다면 아마도 해당 업체에서는 차량 소유자의 운전 미숙으로 돌릴 수 있는 사안이기도 하다.
 
자동차를 업으로 생각하고 갖가지 현안과 함께 국산차, 수입차 구분 없이 국내외 자동차 산업과 자동차와 교통관련 법규나 규정 등 다양한 정부 정책이나 자문도 하고 있는 필자는 자동차 전문가라고 자부한다.
 
이에 따라 종종 운전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황당한 일을 당할 경우 정부가 아닌, 필자에게 편지나 휴대폰 문자메세지를 보내 실마리를 찾기도 한다.
 
오죽 답답하면 그럴까하는 심정이 들기도 하지만, 이는 현재 사후서비스 등이 소비자가 피해를 보고, 소비자 권리가 침해 당하고 있어도 해결할 방안이 별로 없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부는 개인의 피해사례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고, 한국소비자원도 해당 업체에 민원해결을 위한 권고 수준에만 그치고 있다.
 
한국 소비자들은 언제까지 '봉'이 되고 '마루타'가 돼야 하는가? 정부는 언제쯤 소비자 중심으로 법이나 규정을 바꾸고 그 편에 설까?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