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승원기자] 국내 기업들의 신용등급에 비상등이 커졌다.
유럽 재정위기, 중국의 성장 둔화, 미국의 재정절벽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로 국내 기업들의 신용등급 하향 압력이 늘고 있다.
26일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인 NICE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와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1월부터 10월 중순까지의 등급상승/하락 비율은 평균 1.41배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2.8~2.9배 수준과 비교해 1배 이상 하락한 것으로 등급 상승 기업 수가 감소한 반면 등급 하향 기업 수는 증가했다는 의미다.
실제로
대성산업(128820)은 올해 'A0'에서 'A-'로 신용등급이 하락했다. 업황부진에다 유통산업 진출 과정에서의 수익성 및 재무구조가 저하된 데 따른 것이다.
대한전선(001440)도 'BBB0'에서 'BB+'로 추락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 채무의 현실화가 지속된 가운데 순차입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회생절차 개시로 증권시장뿐 아니라 은행권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힌
웅진홀딩스(016880)는 'A-'에서 'D'로 신용등급이 급락했다.
문제는 국내 기업들의 신용등급 하락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데 있다.
유로존과 미국 등 선진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중국, 브라질을 비롯한 신흥국 전반의 수요 둔화로 확산되면서 수출 부진이 불가피한데다 가계부채의 디레버리징 부담이 내수 둔화로 연결되는 등 국내 기업들의 영업위험이 확대되고 있다.
또 우량기업과 비우량기업간 자금시장에서의 접근성 격차 확대로 인해 자금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우량기업의 경우 은행 등 금융기관 차입을 통한 간접금융과 유상증자, 회사채, 기업어음(CP) 등을 통한 직접금융의 가용성이 모두 높은 반면, 일부 비우량기업은 안정적인 자금조달처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울러 금융위기 이후 4~5년간 지속되고 있는 취약 산업 및 기업 구조조정 이슈도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다.
결국, 국내기업들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가능성이 높아진만큼 해당 기업의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특히, 국내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영업환경과 재무상황, 자금시장환경 등을 세심히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환종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영업, 재무, 자금환경을 검토한 결과 일부 비우량 기업을 중심으로 신용등급 하향 압력이 점증하고 있다"며 "불확실한 매크로 요인과 늘어나는 차입부담, 비우호적인 자금조달 여건은 재무적으로 취약한 일부 기업의 상환능력을 다시 한번 시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