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수요업계, 지경부 '기준가격' 개선 신경전
건설·조선업계 "실거래가와 괴리 커져 없애야"
철강업계 "구매력 적은 중소업체들에 피해갈 것"
2012-07-16 15:38:21 2012-07-16 15:39:23
[뉴스토마토 이보라기자] 지식경제부가 철강제품 기준가격에 대한 개선 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철강업계와 조선·건설 등 수요업계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철강업계와 수요업계 간 거래에 가격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가격'에 대해 수요업계의 불만이 제기됨에 따라 지경부가 기준가격 개선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지경부 "기준가격, 현실과 맞지 않아 검토 필요"
 
기준가격은 각 업체들이 자율적으로 철강재 원가를 고려해 산정한 것으로 수요업계나 유통업체와 거래할 때 하나의 '기준'으로 삼는 가격이다. 대체로 품목당 1위 업체가 가격을 정하고 나면 후발 주자들이 이를 참고해 기준가격을 정하는 식이다.
 
철강업계는 이 기준가격을 바탕으로 개별 업체에 대해 물량 혹은 계약 기간 등에 따라 할인폭을 달리해 실제(거래) 가격을 제시한다.
 
과거 철강재 공급이 부족했거나 수급이 안정됐던 시기에는 이 기준가격이 실제가격과 유사하게 움직였다. 하지만 철강재가 과잉공급되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기준가격의 의미가 퇴색됐다고 수요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철강업계가 내세우는 '기준가격'과 실제가격의 괴리가 크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6월 철근 거래가격은 톤당 80만5000원인데 비해 기준가격은 89만5천원이었다. 열연강판 가격도 거래가격은 82만2000원이었지만 기준가격은 100만원대였다. 실제거래가격과 기준가격이 최대 20만원까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지경부는 철강업계의 기준가격이 실제와 차이가 커지고 있어 그 의미가 없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가격 검토작업을 통해 기준가격을 없애거나 시장가격과 유사하게 운영되도록 권고하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철강업계가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볼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지경부의 움직임을 두고 철강업계와 수요업계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특히 건설, 조선 등 수요업계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마다 '가격 기대치' 달라"
 
조선업계 관계자는 "기준가격은 단어자체로 보면 '착한' 표현같지만 철강업체가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방식의 가격"이라고 말했다.
 
이어 "철강업계가 원가를 반영하는 기준마저 그때그때 바뀌는 것 같다"면서 "가격에 대한 기대치가 서로 달라 이런 갈등이 생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기준가격은 반드시 실거래가와 가깝게 내리거나 개선되는게 맞다는 점에서 이번에 지경부의 거래가격 검토작업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건설사들에 비해 규모가 적은 철골업체 같은 경우 협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 건설사들보다 더 높은 가격에 자재를 구매하고 있어 대형 철강업체의 횡포에 시달리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철강업계는 기준가격이 가격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한 것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기준가격은 수요업계에게 여전히 협상을 위한 정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기준가격을 없앤다고 해서 업계에 혼란이나 지장이 생기진 않을 것"이라며 "만약 기준가격이 없어지더라도 다른 이름의 기준가격이 생겨날 것이고, 바잉파워가 약한 중소유통업체같은 약자들이 협의할 수 있는 근거가 없어지게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