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주연기자] 베이비부머라 불리는 우리나라 중장년층(1958~1963년생)의 은퇴준비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에만 의존할 경우 파산 가능성은 40%를 웃도는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KDB산업은행은 산은조사월보 2월호를 통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고령화와 은퇴자산의 적정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은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이미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일본보다도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이라며 "가계자산의 75% 이상이 부동산에 집중돼 퇴직이후 가계의 유동성 압박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사회안전망 역할을 해야 하는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평균 40% 수준에 머물고 있어 은퇴 이후 여생을 국민연금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특히 베이비부머의 '파산가능성(probability of ruin)'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며 다양한 연금 활용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은퇴시점까지 축적한 자산을 바탕으로 은퇴 이후 소비생활을 영위하는 경우 미래의 소비지출 수준이 높을수록, 투자성과가 저조할수록, 투자위험이 클수록, 미래 기대여명이 길수록 파산가능성은 높아진다.
이 때 '파산가능성'이란 은퇴 후 소비지출 수준을 현재가치로 할인한 금액이 은퇴자산을 초과할 확률을 의미한다.
만약 55세에 은퇴할 경우 은퇴자산을 모두 채권에 투자(투자수익률평균=5.13%, 변동성=0.36%)한다고 가정할 때 파산가능성이 10% 이하가 되기 위해서는 소비지출 금액(연간)이 은퇴자산의 2.75% 이내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베이비부머의 평균 순자산(2억9633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2.75%의 소비수준은 연간 815만원에 불과해 현재의 소비지출 수준(연평균 3400만원)은 감당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베이비부머의 현 소비지출을 은퇴 후 매년 유지하려고 할 경우 파산가능성은 85%를 초과했으며,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에 의해 은퇴 전 소득의 40%를 연금으로 받는다고 가정해도 파산가능성은 41.4%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55세에 은퇴하는 남성의 기대여명, 은퇴 후 소비수준(은퇴자산 대비 2% 가정)을 상정해 분석한 결과 은퇴자산을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100% 투자하는 경우의 파산가능성은 17.3%인 반면, 채권에 100% 투자하는 보수적 자산배분으로 변경 시 파산가능성은 3.8%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그러나 지나치게 보수적 자산배분은 오히려 파산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채권에 100% 투자하는 대신 주식에 일정부분 투자하는 전략(주식:채권=20:80)으로 변경할 경우 파산가능성은 3.8%에서 3.1%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산은은 "개인차원에서는 다양한 노후준비 상품(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등)에 일찍 가입해 은퇴 후 소득대체율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부차원에서는 부동산에 편중된 가계자산을 중장기적으로 금융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의 가입조건을 완화하는 등 다양한 유인체계를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