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박선원 제기한 ‘KAI 게이트’ 정면 반박…“근거 없어”
KAI, 6가지 의혹 해명
2025-10-30 20:02:21 2025-10-30 20:02:21
[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기한 이른바 ‘KAI 게이트’ 의혹에 대해 근거가 없다며 정면 반박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관 전경.(사진=KAI)
 
KAI는 30일 ‘박선원 의원 기자회견에 대한 사실 관계를 바로잡습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그간 박 의원이 제기했던 KAI에 대한 여러 의혹에 대해 하나하나 해명했습니다. 박 의원은 지난 2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스마트팩토리 관련 소송 △소형무인기 사업 관련 증거 인멸 △지분 투자와 비자금 조성 △자문료 특혜 △이라크 수리온 수출 △말레이시아 FA-50 수출 관련 마약 의혹 등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KAI는 가장 먼저 스마트플랫폼 사업과 관련한 소송에 대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KAI는 “스마트팩토리 소송 관련 정치적 로비나 외부 압력을 의식하며 대응 전략을 짰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스마트플랫폼 사업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안현호 전 사장이 추진한 사업으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강 전 사장이 취임하면서 사업은 중단됐습니다. 사업 주체인 시스노바와 KAI는 현재까지 민형사상 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앞서 박 의원은 “손실을 입은 특정업체가 KAI에 민사소송을 제기했는데, 이 소송은 어디까지나 KAI와 특정 협력업체 사이 민사 분쟁”이라며 “그런데 그 공문 속에 제 이름이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KAI 내부가 정치적 로비나 외부 압력을 의식하며 대응전략을 짰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불법 무인기 납품 의혹과 더불어 이를 수사하기 위해 특검이 나서자 증거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에도 정면 반박했습니다. KAI는 “담당 임원 PC는 포맷이나 어떤 조치 없이 그대로 보존돼 사용 중”이라며 “사규 수명 연한에 도달한 기기는 교체 및 파기하고 있고 저장매체는 최대 2년간 별도 보관후 폐기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무인기 사업 이슈 발생보다 훨씬 이전으로,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PC를 파기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완전히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어 KAI는 “당시 무인기 관련 업무를 수행한 인력 총 154명의 HDD와 데이터는 모두 온전히 보관 중”이라며 “기존 데이터는 신규 HDD에 이관해 어떠한 훼손 없이 보관 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합리적 지분 투자를 통한 비자금 조성에 대해서는 “투자금은 투자회사 명의의 계좌를 통해 법적 관리되고, 지분투자는 최소 4차례의 사내 투자심의위원회와 이사회 의결을 거치는 만큼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강구영 전 사장이 퇴임 후 받고 있는 자문료에 대해서는 “당사 규정과 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퇴임 임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라크 헬기 수출 관련 선수금 논란에 대해서는 “대통령실에서 어떠한 지시를 받은 바 없고, 이라크 은행에서 선수금 인출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했습니다.
 
또 말레이시아 FA-50 수출 사업 관련 마약조직 밀반입 사건과의 연관성 의혹에 대해서도 KAI 측은 말레이시아 정부의 엄격한 절차와 규정에 따라 얻어진 결과라고 강조했습니다. 오히려 마약 밀반입 연계 주장은 K-방산의 위상과 수출 성과에 오해와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KAI 측은 “대한민국 국민과 국방을 책임질 국산 항공기의 안정적인 생산과 KF-21 개발을 성공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미래 사업에 대한 투자와 K-방산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이슈로 인해 국내외 시장의 신뢰성과 기업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