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에서 '영구채'로 눈 돌린 캐피탈사
하나·iM캐피탈, 하반기 신종자본증권 발행
2025-10-24 14:50:33 2025-10-24 16:47:25
 
[뉴스토마토 신수정 기자]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하던 캐피탈사들이 하반기 들어서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대주주 지원에 의존하던 자본 확충 방식에서 벗어나 금리 인하 기조와 규제 환경 변화에 맞춰 외부 자금 조달 등 다변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24일 캐피탈업계에 따르면 상반기까지는 모회사 주도의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이 주를 이뤘습니다. 메리츠캐피탈은 지난 6월 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습니다. 메리츠증권이 신주 400만주를 주당 1만2500원에 인수하며 자금을 지원했다고 알려졌습니다. 메리츠증권의 지분 100%를 보유한 메리츠금융지주가 사실상 자본 확충을 주도한 셈입니다. 
 
앞서 2월에는 키움캐피탈과 DB캐피탈이 각각 500억원, 374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습니다. 키움캐피탈은 지분 98%를 가진 키움증권, DB캐피탈은 지분 93.6%를 보유한 DB손해보험이 참여했습니다. 이어 5월에는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자회사 MG캐피탈에 2000억원을 출자했습니다. 
 
캐피탈사들의 자본 확충 트렌드는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유상증자 대신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택하는 곳들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하나캐피탈은 지난 7월 2000억원 규모의 공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습니다. 특히 사모 방식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공모 형태로 외부 투자자 자금을 끌어 모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iM금융지주의 자회사 iM캐피탈도 지난 9월 처음으로 1000억원 규모의 영구채 발행에 나섰습니다. 캐피탈사들의 자본 확충 전략이 '내부 수혈'에서 '시장형 조달'로 옮겨가는 건 단순한 자금 조달 수단의 전환을 넘어선 자본 확충의 구조적 변화로 읽힙니다. 상반기까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부실 우려에 방어적인 대응이 중심이었다면, 하반기에는 자본 효율성 제고와 비용 절감이라는 보다 공격적 목적이 강조되는 모습입니다. 
 
신종자본증권은 회계상 부채로 분류되지만, 금융당국이 일정 부채 비율을 자기자본으로 인정해주는 하이브리드 성격을 갖습니다. 발행 주체는 자본비율을 끌어올리면서도 유상증자처럼 주주 참여나 희석 우려가 없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캐피탈업권을 향한 자본건전성 및 레버리지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선제적 대응의 의도도 엿보입니다. 캐피탈업계 관계자는 "신종자본증권은 자본 인정 폭이 제한적이지만, 발행 시점의 금리 여건이나 시장 수요에 따라 비용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진 시점에서 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유상증자는 자본 확충의 정석이지만 주주 참여가 필수적이고, 시점에 따라 부담이 크다"며 "영구채는 외부 자본 유입이 가능하면서도 자본 비율 관리에 도움이 되는 만큼, 앞으로도 발행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위쪽부터) 하나캐피탈과 iM캐피탈 간판. (사진=각 사)
 
신수정 기자 newcrystal@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