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조희대 대법원장에 이어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회 출석 문제도 이번 국정감사의 또 다른 화약고로 꼽힙니다. 김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인데요. 국민의힘은 대통령실을 담당하는 국회 운영위원회를 포함한 5개 상임위 국감에 김 실장의 증인 출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민주당은 국감을 정쟁화하려는 국민의힘의 의도가 명백하다고 판단하고 김 실장이 불출석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실장의 국감 출석 여부는 오는 15일 개최되는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최종 결론이 날 것으로 보입니다.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1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뉴시스)
국힘 "반드시 세운다"…조희대 국감에도 등장한 '김현지'
국민의힘은 13일 김 실장을 포함해 봉욱 대통령실 민정수석, 민중기 특별검사(특검)의 국감 출석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특히 김 실장의 증인 채택 논란을 쟁점화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행정 권력의 은폐를 밝히기 위해서 김 실장을 국정감사장에 반드시 세워야 한다"며 "숨으면 숨을수록 의혹은 더 커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또 조 대법원장에 대한 민주당의 공세에 맞대응하기 위해 김 실장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이날 국회 법사위 대법원 국감에서도 김 실장의 이름이 거론됐는데요. 조배숙 국민의힘 의원은 김 실장의 국회 출석 문제와 관련해 "(민주당이) 조 대법원장은 나오라고 하고 김현지는 애지중지한다"며 "사법부 위 민주당, 그 위 김현지"라고 여당에 역공을 폈습니다. 장 대표를 포함한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검은색 정장, 넥타이 차림의 상복을 맞춰 입고 민주당의 김 실장 증인 채택 거부를 비판하며 총공세에 나섰습니다.
김 실장에 대한 증인 채택 여부가 최종 결정되는 15일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는 여야 격돌의 제1라운드가 될 전망입니다. 국민의힘은 다음 달 6일 대통령실을 대상으로 열리는 운영위 국감에서 김 실장을 기관 증인으로 반드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김 실장에 대한 증인 채택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선 김 실장의 국회 불출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인데요. 국민의힘이 김 실장을 국감에 불러 정쟁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만큼 김 실장을 증인으로 채택하는 것은 어렵다는 게 민주당 지도부의 지배적인 의견입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13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현지 증인 채택 불발돼도…국감 내내 '논란'
그동안 김 실장의 국감 출석을 두고 대통령실과 민주당의 메시지는 다소 온도차를 보였습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 6일 <KBS> 라디오 프로그램 '전격시사'에 출연해 김 실장의 국감 출석에 대해 "비서실이 감싸야 할 이유가 없다"며 "국회가 (출석을) 의결한다면 100% 나간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총무비서관 보임 당시 본인이 관여한 업무에 문제가 생겼다면 고려해볼 수 있지만 그런 문제가 없는데 불러야 하는가"라며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습니다. 민주당 지도부가 강성 지지층과 중도층의 여론을 모두 의식하면서 당정 간 메시지가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김 실장에게 5개 상임위 출석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자 민주당은 김 실장의 국감 출석을 거부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날 김 실장과 봉 수석의 국감 출석 여부와 관련해 "국회가 요구하면 나가겠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상 대통령실이 국회 쪽으로 공을 넘기고, 민주당이 김 실장의 출석을 적극 방어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동안 국감의 기관 증인 문제는 여야 간사 간 합의 사항으로, 한쪽이 반대한다면 증인으로 채택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일각에선 15일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증인 채택이 안 되더라도 김 실장 출석 문제가 이번 국감 기간 내내 뜨거운 감자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결국 다음 달 6일 운영위 국감까지 모두 끝나야 김 실장 출석 이슈가 사그라들 것이란 전망입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