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민주당이 지난 8월 말까지 입당한 당원 40만명에 대해 주소지 허위 등록 등 당원명부 점검에 나설 방침입니다. 본격적인 내년 6·3 지방선거 준비에 나선 것입니다. 지방선거 후보 결정 방식은 지난 21대 대통령 선거 경선 룰과 동일하게 권리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방안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이 10일 당원 40만명에 대한 검증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사진=뉴시스)
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은 10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8월 말까지 입당한 분들이 40만명 가까이 된다"면서 "입당 과정에서 동일 주소지로 여러 명이 등록할 경우 편법·탈법이 있는 것인지 검증을 철저히 거치게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종교단체 입당 동원 의혹이 제기된 김경 서울시의원 문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당헌·당규 위반 사례가 확인되자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조 사무총장은 "이번 서울시당 문제를 확인해보니 입당 과정에서 주소지를 옮길 수 있는데 동일 주소지로 많이 돼 있었다. 봤더니 식당이었다"라며 "이런 것들을 전국에서 검증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돼 있고 (사무총장 명의로) 17개 시도당에 검증하라고 지침을 내렸다"고 말했습니다.
당원명부에 대한 전수조사 방식은 아닙니다. 민주당은 지난 2023년 22대 총선에 대비하기 위해 중앙당 차원의 당원 전수조사에 나선 바 있습니다. 조 사무총장은 "현재로선 전수조사 계획이 없고, 형태도 다양한 형식이 있어서 아직 그것에 대해서는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동아일보>에서 보도한 지방선거 경선 룰과 관련해선 애초에 공직 후보자 추천 과정에 대의원이 참여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지방선거 후보 결정을 위해 권리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 사무총장은 "지방자치단체장 (후보)의 경우 당원과 국민참여로 정하게 돼 있다"라며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등가성에 대해 얘기하는 건 공직 후보자가 아니라 선출직 당직에 관한 얘기"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심이 반영되는 구조에선 기존에 권리당원과 대의원이 있었다면 앞으로 대의원은 권리당원과 등가로 하겠다는 얘기"라며 "공직자는 대의원 포션(비중)이 당초에 없었고, 이걸 '없애냐 유지하냐'라는 것은 맞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