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한국이 추석 연휴를 즐기는 사이 미국에선 9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됐습니다. 위원 절반은 연내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발언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특별한 돌발 변수가 없는 한 올해 2회 남은 FOMC에서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하지만 그토록 금리 인하를 기다리던 금융시장은 웃을 수가 없습니다. 최근 전해진 미국 물가 속보만 봐도 불안합니다. 먹거리 가격이 급등했단 소식은 금리 인하와는 정반대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미 관세 압박이 가져온 후폭풍이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 것입니다.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외에도 미국 내 정국 불안은 시장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요인입니다. 미 이민단속국(ICE)의 불법체류자 단속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격렬한 시위를 빌미 삼아 포틀랜드, 시카고 등에 주방위군이 속속 투입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비판하는 주지사를 향해 “체포”를 들먹이고 있어 이 사태가 계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이 팽배합니다.
정국 불안은 금융시장으로 전이됩니다. 미 국채금리는 기준금리 인하가 예고된 상황인데도 하락을 멈추고 횡보하며 눈치 보기 중입니다. 정부 부채 증가를 우려하는 탓입니다. 정부로선 셧다운 사태 해결을 위해 오바마 케어 등 복지정책을 지키려는 민주당과 일정 부분 타협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감세와 겹쳐 미 정부의 부채 문제를 키울 수 있습니다. 관세율을 높여 세수를 어느 정도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