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명신 기자] LG전자가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차량용 웹OS를 비롯한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시했습니다. 강력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오는 2030년까지 자동차 2000만대에 차량용 웹OS 플랫폼을 공급한다는 목표입니다.
은석현 LG전자 VS사업본부장이 국제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5’서 ‘차량 내 경험의 재정의’를 주제로 콘퍼런스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은석현 LG전자 VS사업본부장 부사장은 9일(현지시간)부터 14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국제 모터쇼 ‘IAA 2025’에서 “LG전자는 헤드유닛, 디스플레이, 커넥티비티 등을 아우르는 전장 부품 포트폴리오와 약 70년 동안 가전 및 IT 분야에서 쌓아온 고객 경험 노하우를 기반으로 SDV 시대를 선도하는 독보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어 “전 세계 2억4000만대 이상의 스마트 TV에 적용된 웹OS를 기반으로 한 차량용 독자 플랫폼으로, 집에서 즐기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차량에서도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2030년까지 누적 2000만대에 차량용 웹OS 콘텐츠 플랫폼 공급하며 SDV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LG전자의 핵심 솔루션 중 하나인 차량용 웹OS 콘텐츠 플랫폼(ACP)를 강조했습니다. LG전자의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서비스인 ‘LG채널’을 비롯해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유튜브 등 다양한 콘텐츠를 자동차용 데이터 요금제에 맞춰 지원합니다. 연말까지 디지털 아트감상 플랫폼 ‘바사리’와 유럽 스트리밍 서비스 ‘라쿠텐TV’ 등도 추가해 차량용 콘텐츠를 계속 늘려갈 계획입니다.
아울러 LG전자는 엑스박스, 줌 등 글로벌 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으며 인포테인먼트부터 업무 영역까지 웹OS 플랫폼 서비스 영역을 확대했습니다. 차량용 웹OS 플랫폼에 ‘엑스박스 게임 패스’ 서비스를 추가해 클라우드 기반의 최신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화상회의 솔루션 줌을 차량용 웹OS 플랫폼의 네이티브 앱 형태로 추가해, 이동 중에도 화상 회의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운전자와 탑승객 모두 차량 환경에 최적화된 UI를 통해 사용자 경험(UX)을 높이고, 안전 규정에 따라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게 LG전자 측의 설명입니다.
토탈 솔루션인 ‘LG 알파웨어’를 통해 안전 기능도 강화했습니다. LG 알파웨어는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솔루션 ‘플레이웨어’ △증강현실(AR)·혼합현실(MR) 기술로 길을 안내하고, 도로 위 위험 요소를 전달하는 ‘메타웨어’ △인공지능(AI) 알고리즘과 카메라 센서 등으로 탑승자의 행동을 분석해 사고를 방지하는 ‘비전웨어’ 등으로 구성됩니다.
LG전자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의 핵심 미래 키워드인 SDV 시장에서 인포테인먼트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까지 SDV 토탈 솔루션을 완비해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명신 기자 si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