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6·27 대책 시행 직후 7월 한 달간 거래량은 크게 줄었지만 최고가를 경신하는 계약 비중은 증가했습니다.
8일 직방이 분석한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7월 서울에서 총 3946건의 거래 중 932건이 신고가로 집계돼 전체의 23.6%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난 6월(22.9%)보다 높으며, 2022년 7월(27.9%)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 강도 높은 규제가 시행되면서 7월 거래량은 6월의 36% 수준으로 줄었지만 일부 거래는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며 신고가를 경신한 점이 눈에 띄는데요.
12억원 초과~20억원 미만 대의 경우 맞벌이 고소득층 등이나 갈아타기 수요 등 자산 여력이 있는 수요자들이 여전히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며 성북구, 동작구, 성동구, 마포구 위주로 신고가 갱신이 발생했습니다. 30억원 초과 구간도 전체 거래의 20%를 차지했습다. 핵심 입지의 희소성과 상징성, 제한적인 신규 공급, 불안정한 대체 투자처 등이 맞물려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채 매수세가 이어졌습니다.
반면 9억원 이하의 구간은 전체의 18%에 그치며 신고가 비중이 다소 낮았습니다. 대출 규제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가격대인 만큼 거래가 위축되고 매수자와 매도자 간 가격 간극으로 인해 신고가 갱신보다는 조정 거래가 더 많이 나타났다는 분석입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의 신고가 계약 비중이 61.5%로 가장 높았습니다. 총 192건의 매매 거래 중 118건이 신고가로 거래됐고, 가격대 별로는 30억원 초과 구간이 44%였습니다.
이어 용산구 59.5% 강남구 51.6%, 광진구 38.2%, 송파구 36.8% 순이었습니다. 6·27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제를 거쳐 체결된 계약들이 7월 통계에 반영되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한층 더 높아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중랑구(4.3%), 구로구(3.6%), 성북구(3.6%), 노원구(3.2%), 도봉구(3.1%)는 신고가 거래 비중이 다소 낮아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했습니다. 이는 자금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저가 실수요자들의 대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규제 이후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으로 이어진 결과로 풀이됩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6·27 대책이 발표된 지 두 달이 지난 현재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고가 주택과 중저가 주택 간 양극화가 뚜렷하다"면서 "강남·용산 등 고가 아파트는 여전히 신고가를 경신하며 수요가 이어지는 반면, 중저가 단지에서는 거래가 위축돼 시장의 온도 차가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가운데 정부는 9월 7일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는데 안정 효과는 향후 공급 속도와 수요 관리 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