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 및 정부 지출안이 담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지난 4일부터 시행되면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연간 전기차 판매액이 최대 2조7000억원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지난 3월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Ellabell)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에서 아이오닉 5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한국경제인연합회(한경협)는 20일 발표한 ‘미국 트럼프 대규모 감세법의 자동차·배터리 산업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OBBBA 발표에 따라 전기차 세액 공제가 종료되면서 현대차그룹의 미 시장 전기차 판매량이 연간 최대 4만5828대 감소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매출로는 19억5508만달러(약 2조7200억원) 규모입니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12만3861대)을 기준으로 37%폭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입니다. 이런 추산은 미 싱크탱크인 전미경제연구소(NBER) 분석에 기반합니다. 앞서 NBER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미 내 전기차 세액공제가 폐지되면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미국 내 생산기지를 둔 전기차 제조사의 판매량이 연간 최대 37% 감소할 것으로 관측한 바 있습니다.
OBBBA에는 현대차그룹의 미 투자 확대에 영향을 미쳤던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를 올해 9월 말로 조기 종료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당초 2032년 말까지 유지될 예정이었으나, 7년 가량 앞당겨졌습니다. 특히 올해 1월부터 현대차그룹 전기차 5개 차종(현대차 아이오닉5·9, 기아 EV6·9,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은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돼 투자 지원 기대감이 높았었는데, OBBBA 발표로 투자의 회수 리스크가 커졌다는 게 한경협 측의 분석입니다.
여기에 미국 내 생산거점의 상당 부분을 완성차 업체와 합작 형태로 추진해 온 한국 배터리 3사의 수익성 악화 역시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경협은 OBBBA 발효에 따른 전기차 및 배터리 업계의 타격을 완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정책 기금과 세제 혜택 등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서 자동차, 부품·물류, 철강, 미래 산업 등 주요 분야에 대한 210억 달러(약 30조8500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자동차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관세가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현지에서 현대차그룹이 생산한 전기차더라도 세액공제 폐지에 따라 매출 타격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