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 간담회에서 희생자들을 위해 묵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세월호·이태원·무안 여객기·오송지하차도 참사 등 '사회적 참사' 유가족 207명을 직접 만났습니다. 윤석열정부 기간 외면 당했던 사회적 참사 유가족들을 직접 위로한 건데요.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 차원의 첫 공식 사과를 하며 고개를 숙이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의 대화에서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될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서, 그리고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유명을 달리 한 점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습니다.
이날 이 대통령은 '책임'에 대해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는 "국가의 제1 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이 사회가 생명보다 돈을 더 중시하고 안전보다는 비용을 먼저 생각하는 잘못된 풍토들이 있었기 때문에 죽지 않아도 될 사람이 죽거나 다치지 않아도 될 사람들이 다치는 일이 발생했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사죄의 말씀으로 다신 정부의 부재로 우리 국민들이 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계기로 삼았으면 좋겠다"며 "필요한 대책을 함께 만들어 나감으로서 국가의 부재로 인한 억울한 국민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날 사회적 참사 유가족들은 이 대통령에게 직접 요구 사항을 밝혔는데요. 이들은 대부분 국정조사 추진이나 특별검사 등 '진상규명'과 함께 '책임자 처벌',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생명안전기본법은 이 대통령의 대선 10대 공약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주재한 국무회의에서도 "철저한 진상 조사와 책임 규명, 충실한 유가족 지원 조치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하며 "반사회적 언행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