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과정과 관련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의 주장과 다른 정황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회계 기준 위반 사안도 발견돼 강제성 있는 감리로 전환됐습니다. 아울러 금감원은 홈플러스가 사재 출연 규모 및 전단채 변제 규모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라고 압박했습니다.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 회계 부문 부원장은 1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을 열고 "신용평가 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회생 신청 경위, 시점 등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회계담당 부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홈플러스 검사 및 조사, 유상증자 등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회계 심사 관련해서도 회계 처리 기준 위반 정황을 발견해 이번 강제성이 있는 감리로 전환해 세밀하게 살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지난달 19일 함 부원장 산하에 '홈플러스 사태 대응 TF'를 설치 △불공정거래조사반△검사반△회계감리반△금융안정지원반 등 4개반으로 구성해 검사에 착수했습니다. 기업어음(CP)나 전단채 등을 판매와 관련된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에 대한 검사도 병행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를 언제부터 기획했고, 신청했는지 등에 대해 회사가 얘기했던 부분과 다른 근거들이 발견되고 있다"면서 "만약에 맞다면, 동양 사태처럼 사기적 부정 거래를 성립시킬 수 있을 것인가가 저희의(금감원의) 과제가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형사처분의 문제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신영증권사 주관사로서 충분한 의무를 다했는지, 그 프로세스가 적정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신용평가사 역시 신용평가 등급 결정 등과 관련한 과정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홈플러스의 대주주에 사재 출연 계획과 전단채 변제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라며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홈플러스가 채무를 순차적으로 지급 중이라 밝히고 있으나 변제 시기 및 순위 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협력 업체 및 입점 업체들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고, 일부 점포에 대한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으면서 구체적인 해명 없이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모호한 표현을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홈플러스는 스스로 약속한 전액 전쟁 대주주 사재 출연 등에 대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며 견제 규모 및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이해관계자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출한 유사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해 정정요구한 것에 대해 "증자 전후 한화그룹이 계열사 지분 구조를 재편한 배경과 증자와의 연관성, 그리고 이 재편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 등을 증권신고서에 충분히 기재해 투자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사회가 정당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어떻게 했는가 알리라는 것이 금감원의 입장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과열되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과 관련해 "펀드 투자자 이익 제고가 아닌 순위 경쟁을 위해 일부 상품에 대한 노이즈마케팅을 계속할 경우 관련 운용사에 대한 보수 결정 체계 및 펀드와 관련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점검할 것"이라며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한 마케팅, 커버드콜 등 비정형 펀드에 대한 운용관리 체계, 엘피(LP·유동성공급자) 관리 등 ETF 시장 종합 관리 방안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