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 기자]
우리금융지주(316140)가 정부의 공적자금을 대부분 상환하고 사실상 민영화를 달성했지만, 여전히 정부의 그늘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친정권 '낙하산' 인사를 앉히려는 시도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손 회장의 중징계 확정 이후 우리금융이 '외풍'에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둔 우리금융 회장 자리에 친정권 '낙하산' 인사를 앉히려는 시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우리금융의 최대주주였던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 지분 9.33%를 민간에 매각하면서 최대주주 지위를 상실했고, 우리금융은 사실상 민영화를 달성한 상태다. 우리금융이 1997년 외환위기 당시 공적자금 약 12조8,000억원을 수혈한지 23년만에 이룬 성과다. 공적자금 상환율도 96%에 달한다.
이명박 정권때 외부 출신인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이후 내부 출신이 지주사 회장과 우리은행장 자리를 이어받았다. 공적자금 상환과 민영화 달성이라는 숙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직 안정을 꾀하면서 영업력이 있는 내부 출신이 선임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상 민영화가 달성화 된 시점에 우리금융지주가 여전히 정치권이나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혀재 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사외이사 7명으로 구성되는데, 임추위에서 회장 후보를 선출하고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추인받는 과정을 거친다. 사외이사는 키움증권, 푸본생명, 한국투자증권, 유진PE, IMM PE 등 지분 4% 이상 과점주주들의 추천을 받은 인물들이다.
과점주주 체제가 안정적인 지배구조로 평가받기도 했지만, 확실한 대주주가 없으면서 정부가 입김이 그대로 작용하고 있따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외이사 추천 주주들은 대부분 금융사이기 때문에 금감원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에 중징계(문책경고)를 내렸다.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책임을 물었다. 금융감독원이 작년 4월 중징계를 건의하고 1년7개월 만이다.
연임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징계 수위를 결정짓게 된 배경에 대해 손 회장의 후임으로 관료 출신 인사를 앉히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당초 금융위는 펀드 사태에 대한 법원 판결이 나온 뒤 결정하겠다는 기조였으나 이달 들어 기조가 급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징계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이달 들어 손 회장의 제재 안건을 다루는 금융위 안건소위원회가 여러번 열렸다"며 "2년 가까이 결론을 미루긴 했지만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간 분위기"라고 전했다.
서울 중구 우리금융지주 본점 모습. (사진=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