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태현 기자] 미국이 전기차 배터리에서 중국산을 배제하는 법안을 통과시킴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원재료 조달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현지시간으로 12일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의 표결을 앞두고 있다. 상원은 이미 통과했다.
2024년부터 배터리 원재료의 40%를 미국이나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에서 조달해야 보조금을 주는 내용으로, 향후에는 비중이 더 높아진다.
하지만 원재료에서 중국 의존도가 워낙 높았기 때문에 배터리 업체들은 고민이 많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배터리 원재료 제련의 70% 이상을 중국이 담당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양극재 소재인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의 올해 중국 수입 비중이 94%에 이른다.
새 광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 기간이 3~7년 가량 걸리기 때문에 단기간 내의 해결책으로서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업체들도 단시일 내 이뤄질 수 없는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게다가 법안에 해석의 여지가 있다는 점도 일종의 '포인트'다. 업계 관계자는 "광물을 맨 처음 캔 곳(만) 따지는 건지 애매한 부분이 있다"며 "광물 생산 자체는 다른 나라들도 비중이 높은데, 제련은 중국에서 많이 하더라"고 덧붙였다.
SK리포트에 따르면 중국이 리튬 57.6%, 니켈 35.3%, 코발 트 64.6%, 흑연 70.4%를 제련하고 있으나 흑연을 제외하고는 원재료를 수입하고 있다. 중국 생산 비중에서는 리튬 14.1%, 니켈 4.1%, 코발트 2.9%에 불과하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12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의 표결을 앞두고 있다. 사진은 니켈 이미지. (사진=LG엔솔 배터리 인사이드 사이트)
현실성의 문제와 문구 구체성의 문제가 겹쳐 법안이 수정될 것이라는 전망·기대가 업계와 시장에서 나오는 판국이다.
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법안을 번경함에 있어 적용 시기 유예는 (업체들이) 원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세제 혜택으로 차량이 많이 팔리는 걸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외 국가 비중을 조정하려고 할 것"이라고 법안 변경 가능성을 점쳤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 역시 "조항을 완화하려는 외교적 노력과 광물 투자 전개가 필요하다"며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적 투자 안분(배분)을 공격적으로 가져갈것인지, 아니면 법안 자체가 좀 현실화할 때 맞춰 나설 것인지 속도 조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태현 기자 htenglis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병호 공동체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