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미니코스피200 선물 등에 대한 시장조성사(증권사)에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첫날 증시는 큰 변동성 없이 박스권 횡보를 이어갔다. 다만 시장조성자의 역할 축소가 주식현물시장 참여 위축으로 이어질 경우 가격 변동성이 커져 개인투자자들이 투자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유가증권·코스닥 시장에서는 시장조성자 자격요건 강화와 대상종목 선정 기준 조정·유동성평가 대상기간 합리화 등을 담은 업무규정 시행세칙 개정안이 시행됐다. 앞서 당국은 시장조성자 역할을 하고 있는 22개 증권사에 대해 미니코스피 200 선물·옵션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고 업틱룰(가격제한규제·Up-tick Rule) 면제를 폐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날부터 미니 코스피200 선물은 시장조성 대상에서 제외되며 시가총액이 10조원을 넘거나 하루 평균 회전율이 2분기 연속 15%를 넘는 종목도 증권사들이 수행하는 시장조성대상에서 빠진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시장조성자의 공매도 물량이 42% 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3월13일까지 시장조성자의 공매도 규모는 하루 평균 2074억원 수준이다. 이중 코스피200선물의 공매도는 일평균 87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2일 기준 코스피 시장 내 공매도 거래금액은 119억4400만원으로 전거래일(153억원) 대비 소폭 줄었다.
증권가에서는 시장조성 위축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니코스피200 선물의 시장조성 종료는 금융투자의 주식현물시장 참여를 축소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라며 “투자자 사이에서 일종의 버퍼(Buffer) 역할을 했던 금융투자의 위축은 외국인과 개인의 충돌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 연구원은 또 “금융투자의 주식현물 바스켓 매매가 약화되면 개별종목의 펀드멘탈 이슈가 가격에 반영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 개별 종목의 가격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시장조성자의 공매도는 헤지 수단으로 봐야하는데 공매도 행위 자체만으로 부정적으로 보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는다”고 언급했다. 이어 “시장조성자 역할 제한으로 증시가 침체될 경우 유동성이 낮은 종목을 중심으로 개인 투자자의 손실이 더 커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진/백아란기자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