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성욱 기자] 정부가 ‘한국판 뉴딜’ 과제를 해외시장으로 진출시키 위해 5년간 30조원의 수출금융을 지원한다. 그린·디지털 뉴딜 사업 추진 단계에서부터 글로벌화를 병행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수출액은 250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제2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9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K-뉴딜 글로벌화 전략'을 발표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그린·디지털 경제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측되면서 관련 시장과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먼저 그린에너지, 그린모빌리티 등 그린뉴딜 분야 해외수주 규모를 2019년 15기가와트(GW)에서 2025년 30기가와트로 2배 가량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그린·디지털 분야 수출·수주에 2025년까지 5년간 총 30조 규모의 대출을 공급할 계획이다. 대출한도는 최대 10%포인트까지 확대한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에는 각각 0.3%포인트, 0.5%포인트의 우대 금리를 제공한다.
세계 시장을 4대 전략시장으로 나눠 시장별 특성에 맞게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는 민관 합동 총력지원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4대 시장은 △미국·유럽 등 선진성숙시장 △동남아·중남미 등 신흥성장시장 △인니·필리핀 등 분선전원 유망시장 △사우디 등 에너지 다각화시장 등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K-뉴딜 글로벌화 전략’을 통해 그린·디지털 뉴딜 등 ‘한국판 뉴딜’ 과제를 해외시장으로 진출시키 위해 5년간 30조원의 수출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문재인 대통령이 전북 부안군 서남권 해상풍력 실증단지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제도도 조사시간을 4개월에서 2개월로 단축하고, 공공성 평가 비중을 35%에서 40%로 늘려 원활한 프로젝트 수주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신용도가 낮은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사업성 평가수수료를 50% 감면해주는 등 해외사업 공동보증제도도 활성화한다. 또 중소·중견기업의 참여도가 높은 공적개발원조(ODA) 중 그린 뉴딜 ODA 비중도 현재 6.4%에서 경제협력기구(OECD) 평균수준인 22.7%까지 확대해 그린 뉴딜 분야 개도국시장 진출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디지털 뉴딜 분야는 디지털 수출액 규모를 2019년 1800억 달러에서 2025년 2500억 달러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분야 주요 산업별로 맞춤형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데 주력한다.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융합산업의 경우 5G, 인공지능(AI) 등 주요 분야 국내 실증 결과를 해외진출 시 레퍼런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글로벌 범용성을 갖춘 사업모델 발굴도 돕는다.
또 1분기에 출범하는 'K-디지털 얼라이언스'를 통해 디지털 및 다른 분야 기업을 포괄하는 선단형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한다. ‘디지털정부 협력센터’도 현행 3개소에서 7개소로 확대한다.
12개 도시에서 시행 중인 스마트시티 협력사업과 1조5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 지원 등을 통해 스마트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의 수주를 지원한다.
코로나19이후 급성장 중인 비대면 산업은 사업 초기부터 현지 기업·자본과 협업하는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아울러 디지털 혁신기업 해외진출 기반을 조기에 구축하기 위해 2260억 규모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벤처펀드,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전문펀드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또 디지털 수출기업 발굴·육성 전용자금을 300억원 규모로 신설하고, ‘혁신기업 국가대표’로 선정된 디지털뉴딜 해외진출기업에게 융자 우대도 지원한다.
세종=정성욱 기자 sajikoku@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