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유영진 기자] 여야 의원들이 롯데카드의 대규모 해킹 사태 보상안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지만, 롯데카드 측은 여전히 추가 보상안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실질적인 구제책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297만명 규모 해킹 사태에 대한 보상책으로 △10개월 무이자 할부 △차년도 연회비 면제 △금융 피해 보상 서비스(크레딧케어) 및 카드 사용 알림 서비스 무료 제공 등을 내놨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선 롯데카드가 내놓은 보상안이 고객의 카드 해지를 막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해킹 사태 이후 롯데카드를 해지한 고객들은 사실상 어떤 보상도 받지 못하는 셈입니다. 롯데카드의 보상안이 미흡하다는 지적은 국회 간담회와 청문회에서도 이어졌습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달 23일 국민의힘 '롯데카드 해킹 사고 관련 대책 간담회'에서 "내달 국정감사에서 롯데카드와 MBK파트너스가 어떤 피해자 구제책을 가져오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내용이 미흡하다면 민주당과 협의해 11월에 단독으로 청문회를 개최할 생각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같은 당 김상훈 의원도 이날 "롯데카드는 실제 온라인 거래든 대면 거래든 피해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는 해명을 하는데, 고객 입장에서는 롯데카드를 이용했다는 이유만으로 본인들의 신용정보가 유출됐다는 정신적인 피해가 있다"며 "금전적 피해 가능성만 얘기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롯데카드가 2차 피해 발생 시 전액을 보상하겠다는 점만 강조하고, 개인정보 유출 자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책은 내놓지 않는다는 질타입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지난달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해킹 사태 청문회에서 롯데카드가 내놓은 보상안에 대해 "카드 알림 서비스 550원, 차년도 연회비 2~3만원 정도인데, 고객 정보를 너무 적게 생각하는 거 아니냐"며 "고객 정보를 2~3만원 수준으로 생각한 건가"라고 꾸짖었습니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도 "카드번호, CVC번호까지 다 유출됐는데 10개월 무이자 할부 이런 건 너무 한가한 말씀 아니냐"고 했습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현재 보상안은 정보 유출된 부분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고객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라며 향후 추가 보상안 마련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롯데카드는 이후 한 달이 가까워지도록 추가 보상안에 대해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열린 정무위 국정감사에서도 추가 보상과 관련한 언급은 전혀 없었습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전직원들이 해킹 사태 수습에 몰두하고 있는 상황이라 추가 보상안에 대해선 정해진 게 없다"며 "고객 피해 방지를 우선으로 여기고, 추가 보상은 추후에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유영진 기자 ryuyoungjin1532@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