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성욱 기자] ‘자신의 삶에 만족한다’고 느끼는 국민의 비중이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 5명 중 1명은 ‘자신이 외롭다’고 느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중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년보다 3.0% 감소한 60.7%다.
지난 2013년 47.3%로 집계된 이후 2018년 63.7%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성별·소득수준병 국민 삶의 만족도. 자료/한국행정연구원, 통계청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체로 삶의 만족도도 높아졌다. 다만 소득수준 100만원 미만, 500~600만원인 국민은 전년보다 만족도가 크게 줄었다.
소득수준 100만원 미만은 지난해 41.4%로 전년(49.3%) 보다 7.9% 급감했다. 특히 500~600만원은 지난해 60.6%로 전년(66.2%)보다 5.6% 줄었다. 이는 소득수준이 낮은 400~500만원(63.9%) 보다 오히려 낮은 수치다.
성별로 보면 지난해 삶의 만족도는 여자 62.0%, 남자 59.5%로 여성이 높았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중 ‘외롭다’고 느낀 비중도 전년보다 4.5% 늘어난 20.5%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꼴로 외로움을 느끼는 셈이다.
지난해 사회적 고립감을 느낀 국민이 늘어난 것은 2014년 이후 5년만이다. 2018년까지는 지속적인 감소세였다.
사회적 고립감 및 소득수준별 사회적 고립감. 자료/한국행정연구원, 통계청
지난해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낀 비중은 전년보다 5.4% 증가한 16.7%로 나타났다.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는 비중은 2014년 19.5%에서 2018년 11.3%로 매년 감소해왔다.
‘외롭다’는 비중도 2014년 27.7%~2018년 16.0%로 매년 줄었으나 지난해 20.5% 증가했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월 소득이 400만원 이상일 때 사회적 고립감이 대체로 비슷했으나 월 소득 400만원 미만 부터는 사회적 고립감을 더 느꼈다. 소득 수준이 낮을 수록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는 방증이다.
연령별로는 40대와 60대가 고립감을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
세종=정성욱 기자 sajikoku@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