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준형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전통시장 온라인 진출이 제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온라인화의 핵심인 전통시장 배달센터 설치 사업이 중기부에서 각 지자체로 옮겨지면서 예산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의 일환으로 중기부에서 지원하던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이 지난해 지자체 자체 사업으로 이양됐다. 전통시장 배달센터 설치는 시설현대화 사업에 속하는데, 그간 국비로 큰 어려움 없이 확보했던 시설현대화 예산이 지자체 집행으로 바뀐 만큼 배달센터 재원 확보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 제기동 경동시장에 사람들이 북적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중기부는 통해 전통시장의 온라인 진출을 지원하는 ‘시장경영바우처 지원사업’을 통해 침체된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정작 온라인화 핵심시설인 배달센터 설치에 난항이 예상되는 만큼 전통시장 온라인 진출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한 전통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전통시장 온라인 진출을 위해선 배달센터가 필수인데 시설현대화 사업 이양으로 지방비 부담이 커진 지자체가 배달센터 설치를 지원해줄지 의문”이라며 “배달센터를 설치하더라도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기부는 배달센터는 상인회 의지로 해결 수 있다는 입장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서울 강동구 ‘암사종합시장’의 경우 상인회에서 컨테이너를 통해 공동배송센터를 마련했고 다른 시장의 경우 상인회의 빈공간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며 “상인회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시장에서 요구가 있다면 지자체에 적극적으로 얘기해 볼 수도 있는 부분”이라며 배달센터 설치 간접 지원에 대한 여지를 남겼다.
암사종합시장은 전통시장 온라인 플랫폼 ‘동네시장 장보기’의 첫 진출 시장으로 지난 16일 박영선 중기부 장관이 온라인 장보기를 시연했던 곳이다. 암사종합시장의 경우 상인회에서 설치한 컨테이너를 공동배송센터로 활용, 전통시장 상인이 공동배송센터에 배송 물품을 두면 배달직원이 물건을 배달해 주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상인회에선 회비 수만원도 크게 느끼는 상인들에게 추가 비용은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상인회 관계자는 “아직까지 전통시장 온라인 진출이 활발한 상태도 아니고 이런 플랫폼이 운영되는지 모르는 소비자들도 많다”며 “이런 상태에서 상인회가 자체적으로 설치하기엔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2년부터 2017년 사이 전국 전통시장 수는 1511개에서 1450개로 61개 감소했는데, 수익성 감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기간 전통시장 임차점포 비율은 64.5%에서 77.2%로 상승했으며, 임대료는 63.6만원에서 76만원으로 19.4% 증가했다. 반면 시장당 일평균 매출은 4502만원에서 5125만원으로 13.8% 성장해 최저임금 상승폭(41.2%)의 절반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박준형 기자 dodwo90@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