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신혼부부 네 쌍 중 한 쌍은 결혼 2년차에 출산과 함께 맞벌이를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00만원 미만 소득구간에 위치한 아내의 경제활동 이탈이 컸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신혼부부통계로 살펴본 혼인 1년 후 동태적 변화 분석' 자료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의 비중이 2014년 10월 기준으로 49.7%(11만7000쌍)였지만 1년 뒤 44.4%(10만4000쌍)로 5.2%포인트 감소했다. 통계청은 2013년 11월1일부터 1년 사이 혼인 신고한 뒤 2015년 11월1일까지 혼인을 유지하고 있는 초혼 부부 23만5000쌍의 변화상을 비교했다.
특히 결혼한 첫해에 맞벌이였던 부부 11만7000쌍 가운데 2년차에 외벌이로 전환한 부부가 2만7000쌍(23.2%)에 달했다. 4쌍중 1쌍이 '외벌이'로 전환한 셈이다.
부부중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쪽은 대부분 아내였다. 경력단절여성(경단녀)가 2년차에 시작된 것이다. 아내의 경제활동 비중은 1년차 때 55.8%에서 2년차에는 50.2%로 감소했다. 반면 남편은 같은 기간 85.9%에서 86.5%로 상승했다.
경단녀가 된 주된 이유는 출산이었다. 2015년에 자녀가 있는 부부의 맞벌이 비중은 38.6%로 자녀가 없는 부부의 맞벌이 비중(51.7%)보다 13.1%포인트 낮았다.
여성의 경제활동포기는 소득이 낮을수록 심했다. 경제 활동에서 비활동으로 전환한 아내 1만8000명 중 연소득 3000만원 미만이 84.8%나 됐다. 반면 연소득이 5000만원 이상은 1.7%에 불과했다.
2014년 기준 일을 하다가 그만둔 부인의 평균 출생아 수는 0.56명이었지만 계속 일을 한 부인의 평균 출생아 수는 0.49명으로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이번 통계를 보면 신혼부부들이 결혼 2년차 때 출산을 가장 많이 하면서 동시에 외벌이로 가는 경향이 컸다"며 "일을 계속하는 아내의 출산율이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부의 출산장려책이 직장 근무환경뿐 아니라 육아와 일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 강화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