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원수경기자]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저금리 기조에 크게 늘어난 부채가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9일(현지시간) 반기에 한번씩 발표하는 '글로벌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경기부양을 위해 실시됐던 통화완화 정책이 축소되면서 금리가 오르면 유동성 리스크와 신용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IMF는 "금융 정상화와 자력성장 환경을 위한 적절한 준비 없이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완화정책이 축소되고 있다"며 금융시장의 혼란 없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완화정책의 출구전략 시기를 정하는 것이 핵심인데 출구전략 시기를 너무 늦출 경우 금융시장의 안전성을 해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이를 경우 경제성장을 저해하고 부채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기업의 부채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금리가 인상될 경우 구조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호세 비냘 IMF 통화 및 자본시장부문 대표는 "금리 상승과 실적 부진, 통화가치 하락 등이 신흥국 시장의 기업활동에 잠재적 압박을 가할 것"이라며 "이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신흥국 회사채 시장의 35%는 채무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IMF는 현재 지급불능 리스크를 안고 있는 부채 규모는 지난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 직후 시기보다도 더 많다며 아시아와 유럽 신흥국, 중동, 아프리카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보다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아르헨티나와 터키, 인도, 브라질 등에서는 취약기업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수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흥국의 기업들이 지고있는 부채는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세배가까이 상승했다. 브라질과 중국, 싱가포르, 태국, 터키 등에서는 가계부채가 40% 이상 상승하기도 했다.
IMF는 신흥국 시장이 완화정책 축소에 따른 변동에 대비하기 위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거시경제 차원의 경제회복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비냘은 "금융위기 시기를 지나 통화완화 정책에 따른 '유동성 장세'에서 '성장성 장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IMF는 고수익 채권 의존도가 심화된 미국의 금융시스템과 중국의 그림자 금융 문제, 유로존의 은행 취약성 등을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